인기 기자
(토마토칼럼)공염불 돼선 안될 공모펀드 활성화
2016-07-07 06:00:00 2016-07-07 06:00:00
"가뜩이나 어려운 공모펀드 시장에 악재다."(A 자산운용사 관계자), 이미 오래 전부터 개방형 공모펀드에 성과보수 제도를 법적으로 도입한 미국도 거의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현실적인 업계 의견에 귀기울여 실무 규정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 자산운용사 관계자)
 
최근 운용업계는 이런 푸념이 공감대를 형성한 모양이다. 금융당국이 개방형 공모펀드에 성과보수 도입 등을 골자로 한 공모펀드 활성화 방안을 추진키로 하면서다. 금융위기 이후 급속도로 부진한 성장을 보인 공모펀드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것으로 실제 공모펀드 수탁고는 매년 쪼그라드는 추세다.
 
4일 기준 공모펀드 순자산총액은 231조7427억원으로 사모펀드 순자산총액(234조2956억원)에 밀렸다. 지난달 사상 처음 사모펀드 순자산총액이 공모펀드의 것을 넘어서더니 이내 3조원 넘게 벌어졌다. 10년 전만 해도 공모펀드 규모(149조원)는 사모펀드 규모(94조원)를 훨씬 앞섰으나 공모펀드에서 지지부진한 수익이 이어지자 사모펀드로 쏠림이 이어진 결과다.
 
성과가 저조한 펀드에 온전히 운용보수를 모두 지급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도 성과보수 도입 논리에 힘을 실었다. 성과보수를 가져가는 헤지펀드 등 사모펀드 성장세가 갈수록 커지고 있으니 공모펀드에도 이를 허용하지 않으면 능력이 우수한 공모펀드 매니저들의 이탈이 진행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 것도 사실이다. 
 
공모펀드 성과보수가 도입되면 펀드수익률에 관계없이 일정한 보수를 떼어가는 현행 구조에서 운용보수는 덜 받고 목표수익률에 따라 성과보수를 차등적으로 가져가게끔 하는 구조로 바뀐다. 개인 5억원, 법인 10억원이던 최소 투자금액도 없애고 추가투자자 모집을 허용하는 등 요건도 달리한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투자자와 운용사의 성과목표가 더 일치할 수 있고 대표 펀드매니저 역량과 지명도에 따라 마케팅 포인트를 강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 관심을 끌 것으로 금융당국은 기대한다. 성과에 상응하는 보수를 지급하는 문화가 정착돼 펀드매니저의 운용능력과 전문성이 인정되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란 자신감도 내비쳤다.
 
업계도 제도 취지에는 이견이 없다고 했다. 다만 첫 단추부터 제대로 끼워 실효성을 갖추고 가자는 입장이다. 적어도 우려되는 부분은 지우고 가야한다고 토로했다. 기존의 정률 방식 운용보수 체계에서도 간접적으로 운용성과가 연동되기 때문에 성과보수 체계를 채택할 유인이 약하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세세한 기술적 문제들도 성과보수 체계 확산을 막는 요인이 될 것이란 지적이다. 개방형 공모펀드의 경우 모든 투자자들의 투자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펀드의 운용성과 측정기간과 투자자들의 투자기간도 정확하게 맞출 수 없고 기준수익률의 객관성도 완전히 담보할 수 없다는 점을 간과해서도 안 된다고 했다. 장기적으로 투자자 신뢰를 잃을 수 있어서다. 운용사의 자사 공모펀드 투자를 의무화하는 부분도 업계는 불만이다. 인덱스 비중이 워낙 증가해 벤치마크 대비 초과수익을 내기가 갈수록 어려워지는 가운데 공모펀드 매니저 입장에선 기존 보수체계보다 인센티브가 줄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서다. 
 
머리를 맞대면 안 될 게 없다. 공모펀드 활성화라는 목표만 분명하면 된다. 금융당국은 태스크포스를 통한 업계 의견 수렴과 논의를 통해 하반기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기로 했다. 공모펀드를 옥죌 제도를 내놓을 게 아니라면 활성화에 초점을 둔 근본적인 해법을 찾길 바란다.
 
차현정 증권부 기자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