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유럽 내 경제성장률 격차 2배 이상 확대
남·북유럽간 성장률 표준편차 2019년 0.5%p→2020년 1.5%p 확대
성장률·실업률·국가부채 격차 두드러져
한은 “경제력 편중에 따른 남·북유럽 간 상호불만 누적 등 극복 과제”
2021-01-10 12:00:00 2021-01-10 15:43:04
[뉴스토마토 이정윤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단일통화를 사용하는 유럽 내의 경제력이 점점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유럽과 북유럽 간의 경제성장, 실업률, 국가부채 등 전반적인 경제 상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 코로나19발 불평등으로 인해 경제적·정치적 갈등이 불거져 유로체제 내의 불협화음이 지속될 것이란 우려가 커졌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유로지역 내 경제력 격차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살펴보면 2019~21년 중 이탈리아(-3.6%), 스페인(-3.1%) 등 남유럽 국가 성장률은 독일(-1.0%), 오스트리아(-0.8%) 등 북유럽 국가를 크게 밑돌았다. 남·북유럽 국가 간 성장률 표준편차도 2019년 0.5%p 수준에서 2020년에는 1.5%p 가량으로 2배 이상 확대됐다. 
 
남·북유럽은 1999년 1월 유로화 도입 이후 대체로 비슷한 속도로 성장해 왔으나, 금융 및 재정위기를 계기로 성장률 격차가 확대됐다. 여기에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남유럽의 경제여건이 북유럽에 비해 크게 악화되면서 성장률 격차가 다시 커진 것이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유로지역 내 경제력 격차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살펴보면 남?북유럽 국가 간 성장률 표준편차가 2019년 0.5%p 수준에서 2020년에는 1.5%p 가량으로 2배 이상 확대됐다. 사진/한국은행
 
실업률에서도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남유럽은 코로나 발생 이전인 2019년 실업률이 10%이상이었으나 2021년에는 15% 가까이 올랐다. 같은 기간 북유럽은 5%에서 소폭 상승에 그쳤다. 이 시기에 남유럽과 북유럽의 실업률 격차도 10%p 미만에서 그 이상으로 벌어졌다.
 
이같은 결과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고 고용안정성이 낮은 남유럽은 실업률이 크게 상승하면서 북유럽과 격차가 확대됐다. 특히 이탈리아는 자영업자 비중이, 스페인은 임시계약직 비중이 높아 위기에 취약하다.
 
국가부채도 격차가 커지고 있다. 남·북유럽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부채비율 격차는 2019년 60%포인트 수준에서 2020년 72%포인트로 확대될 전망이다. 금융위기 이후 역내 두 지역 간 국가부채 격차가 켜졌는데, 코로나19 이후 남유럽의 재정지출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격차가 더욱 확대된 것이다. 
 
장기금리는 완화적 통화정책에 힘입어 과거 위기상황에 비해 역내 지역별 격차가 제한적이고, 국가별 가격경쟁력을 나타내는 실질실효환율 격차와 역내 무역불균형도 점차 축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은은 “다만 장기금리 하락은 남유럽의 국가부채규모 확대를 유발하고, 무역불균형 축소의 배경이 되는 임금상승 억제는 남유럽 인력 유출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처럼 남·북유럽의 여러 경제 지표들이 격차를 보이는 것은 코로나19 확산 정도와 두 지역 간 경제적·사회적 여건에 차이가 나는데 있다. 코로나19 확산 정도를 살펴보면 유럽에서는 이탈리아에서 처음 코로나19가 확산되고 전염도 빨라 남유럽을 중심으로 강력한 확산방지 조치가 시행되면서 실물경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위축됐다.
 
산업구조 측면에서는 대면접촉을 통해 전염되는 코로나19의 특성상 음식·숙박, 여행 등 서비스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남유럽이 제조업 중심의 북유럽보다 경제적 손실이 심각했다.
 
또한 정부 정책적으로 남유럽 국가는 유럽 재정위기 이후 높은 수준의 국가부채가 지속되면서 코로나19 충격 흡수를 위한 재정여력이 불충분했다. 반면 북유럽은 남유럽에 비해 통화·재정정책의 경기진작 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됐다. 아울러 남유럽 국가는 대체로 온라인 업무 인프라가 미흡해 팬데믹으로 인한 방역조치 확대가 경제활동 제약으로 직결되는 행태를 보였다. 
 
 
한은은 “지역 간 경제 격차 확대에도 불구하고 유로 단일통화체제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경제력 편중과 이에 따른 남·북유럽 간 상호불만 누적 등은 앞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라며 “유로지역의 결속력 강화를 위해 통화통합에 이어 재정통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이의 일환으로 경제회복기금이 출범하는 등 일부 성과도 있지만 국가 간 이해상충을 해결하고 완전한 경제통합으로 나아가는 데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정윤 기자 jyoon@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