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낙동강 하굿둑 개방하니 고등어·전갱이가…"생태복원성 확인"
환경부, 낙동강 하굿둑 개방 3차 실험 결과 공개
둑 개방 전후 물고기 종수·개체수 늘어
하천·지하수 염분 침투 효과 크지 않아…"농업 영향 미미"
2020-08-03 12:00:00 2020-08-03 12:00:00
[뉴스토마토 백주아 기자] 낙동강 하굿둑 개방 3차 실증실험 결과 고등어, 전갱이 등 바닷물고기가 둑 상류까지 올라온 것으로 확인됐다. 바닷물 유입에 따른 취수원·농업에 대한 피해도 거의 없는 데다, 물고기 종류와 개체수도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환경부는 지난달 4일부터 약 1개월간 실시한 ‘낙동강 하굿둑 운영 3차 실증실험’ 결과를 3일 공개했다. 이번 실험은 하굿둑을 단기개방했던 지난해 1·2차와 달리 장기간 개방시 염분 확산 정도 등을 알아보고자 밀물이 가장 높은 ‘대조기’를 가정해 진행됐다. 
 
개방 결과 하굿둑 상류 4지점과 하류 1지점 중 상류에서 전반적으로 물고기 종수와 개체수가 늘었다. 특히 고등어, 농어, 전갱이 등 바다나 기수역(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일대)에 사는 어류가 수문을 통과해 둑 상류까지 올라 온 것이 확인됐다. 
 
또 상류에서는 장어 등 회귀성 어류가 확인됐다. 청멸치 무리 등 기수 어종이 수문을 통해 이동하는 것도 관찰됐다. 
 
자료/환경부
 
환경부 관계자는 "지난 6월 9일부터 18일까지 첫 대조기(4~8일)와 두 번째 대조기(19~25일) 사이 기간 열흘 동안 수문 1기를 위로 열고 수문 아래로 바닷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른바 생태소통 가능성을 점검했다"고 설명했다. 
 
하천의 염분은 강우나 환경대응용수 방류를 통해 대부분 희석됐다는 평가다. 첫 대조기 기간에는 5일간 하루에 한번 총 258만세제곱미터(㎥)의 바닷물이, 두번째 기간에는 7일간 총 614만㎥의 해수가 유입됐다. 
 
지하수 염분 농도도 특별한 변화는 없었다. 하굿둑 주변 지역 총 287곳의 지하수 염분 농도를 관측한 결과 지난 1·2차 실험때와 같이 주변 지하수 관정에서 유의미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5곳에서 염분 변화가 관측됐지만 평상시 변화범위 내에 해당하는 염분 변화로 장기실험에 따른 관련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관계기관과 함께 실시간 관측 가능 지하수공 21개소과 기존 농업·생활용 지하수공을 활용해 지하수 염분 농도 등을 지속 관측할 계획이다. 관계기관은 국토교통부, 해양수사부, 부산광역시, 한국수자원공사 등이다.  
 
또 이번 실험결과를 지하수 예측계산에 반영해 하굿둑 개방에 따른 지하수의 장기적 염분이동범위와 농도변화 경향성을 확인한다. 이를 종합분석해 올해 안으로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기수생태복원 가상일정별 영향을 예측해 시설물, 농업, 어업, 주변사업 등 분야별 변화와 대안도 함께 제시한다. 
 
도출된 복원방안에 대해서는 농·어민, 지역주민과 시민사회단체, 지자체, 관계기관 등 이해당사자 의견을 수렴하고,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최종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박미자 환경부 물환경정책국장은 “장기간의 하굿둑 개방실험으로 하굿둑 예측계산을 정교화할 수 있었으며 생태계 복원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면서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농민과 어민 등 지역주민, 시민단체, 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충분히 소통해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최적의 대안을 마련하겠다”라고 말했다.
 
세종=백주아 기자 clockwork@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