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사회공헌)4월 '장애인의 날' 올바른 언론보도에 대한 기대
'올바른 언어' 사용과 '인권'의 관점서 심층적 보도 이뤄져야
2019-04-15 06:00:00 2019-04-15 06:00:00
대다수는 장애인을 보지 못한다.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반면 평소 접할 기회가 없는 정치인이나 스포츠 스타, 연예인은 자주본다. 언론매체 덕분이다. ‘장애인의 날’이 있는 4월 장애인들도 언론매체 덕을 본다. 하지만 장애나 장애인에 대한 언론기사의 왜곡된 시선이나 표현으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거나 화가 나기도 한다.
 
정치적으로 올바르고 정의로운 언어 사용해야 
 
김용구 한국장애인인권포럼 부설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 소장. 사진/정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
 
한국장애인인권포럼 부설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는 보건복지부 지원으로 지난해 9개월(3월~11월)간 국내 10대 일간지의 장애인 관련 보도 내용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했다. 결과를 살펴보면 장애인을 바라보는 언론의 시선이 ‘사람’이 아닌 ‘장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것이다. 이는 ‘장애’에 대한 편견 때문이다. 이를 통해 독자는 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또 확산된다.
 
장애를 ‘무기력’, ‘불행’, ‘절망’, ‘극복의 대상’, ‘치료해야할 질병’, ‘재활의 대상’, ‘죄의 대가’, ‘미성숙’, ‘의존’ 등으로 표현하고 ‘은유적 묘사를 통한 상대 비하’ 도구로 사용하는 언론보도가 적지 않다. 장애인들도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을 강요받는다. 중증장애인이면서 영국 장애운동의 선구자로 알려진 폴 헌트(Paul Hunt)의 저서 <치명적 상태, 1996년>를 인용하면 “불행한, 쓸모없는, 이질적인, 억압받는, 아픈” 사람으로 스스로를 인식하도록 장애인에게 강요하는 것이다. 장애가 장애인의 최대 적이 되는 셈이다.             
초기 장애인 운동의 역사는 위와 같은 나쁜 의도로 포위된 장애의 개념과 원인을 재정립하는 과정이었다. 그나마 지금은 많이 개선됐다. 성(Gender), 지역, 종교, 인종, 사상 등에도 이러한 언어 사용이 빈번하니 장애인만의 문제는 아니다. 언론이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PC)', 즉 ’특정 그룹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조장하고 하찮은 존재로 모욕하지 말자는 신념‘에 입각한 언어사용에 앞장서기를 기대한다.
 
'인권'과 '자립생활'의 관점에서 심층적 보도 희망
 
지난해 국내 10대 일간지는 장애인의 날 하루 동안 4월 장애관련 기사 264건의 20.45%에 해당하는 54건을 보도했다. 장애인의 날 전후 3일에 해당하는 17~23일 기준으로는 47.73%를 차지했다. 이를 두고 장애이슈를 특정한 시기에 이벤트성으로 다룬다는 비판도 있지만, 언론이 기사의 ‘시의성’을 고려하는 것을 부정적으로 바라볼 필요는 없어 보인다.
 
기사가 다루고 있는 장애유형을 비교해보면, 평소 50% 가까이 지체장애에 편중되어 있던 것이 4월에는 다소 완화가 되었고, 상대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장애를 다뤄졌다. 특히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발달장애와 정신장애 유형을 다루는 기사가 증가한 점은 고무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내부 신체장애나 안면장애를 다루는 것에는 인색했다. 올해는 전국이 미세먼지 이슈로 들끓고 있다.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호흡기 장애 등 내부 신체장애인들의 고충과 지원방안을 심층적으로 다루는 언론보도를 4월에는 기대해 본다.
 
지난해 4월엔 오피니언과 특집기획 지면 비중도 증가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언론이 기사의 ‘시의성’을 고려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장애 이슈를 언론사의 공식 입장과 심층기사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평소 장애인 이슈를 다루는 것에 인색했던 경제면 보도 증가도 마찬가지다. 무능력한 존재가 아니라 경제활동 주체로 장애인을 보도 지면에 등장시키는 것 자체가 의미가 있다. 올해 4월에는 장애인 근로의 권리를 차별금지와 의무고용 관점을 넘어 주류 노동시장에서 다루었으면 좋겠다.
 
기사가 다루었던 장애 이슈로 접근하면, 작년 4월에는 다른 달에 비해 인권/권리 분야를 상대적으로 많이 다뤄졌다. 10대 일간지들은 지난해 9개월 동안 보도한 2104건의 장애관련 기사 중 인권·권리 이슈는 176건, 8.4%에 그쳤지만, 4월에는 20%를 넘어섰다. 반면 자립·탈시설 이슈는 1.8%로 변함이 없다. 소득보장, 고용, 이동/접근성, 교육, 문화/체육, 관광 등 장애계의 다양한 이슈는 결국 ‘인권’과 ‘자립생활’의 범주다. 올해 4월에는 이 두 가지 관점에서 장애인 이슈를 포괄적으로 접근한 심층보도가 늘길 기대해본다.
 
김용구 한국장애인인권포럼 부설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 소장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