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삼성중공업·대우조선 합병 시나리오, 현실성 있나
“정치적 이해관계, 노조 반발 등 합병 현실성 떨어져”
2016-06-22 06:00:00 2016-06-22 06:00:00
뼈를 깎는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는 삼성중공업(010140)대우조선해양(042660)의 합병설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정부가 각자 회생하는 방향으로 구조조정의 가닥을 잡았지만, 시장에선 여전히 양사가 강점이 있는 사업부문을 통폐합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양사의 복잡한 정치적 이해관계와 노동조합의 반발, 부실자산 처리 등 합병에 의한 구조조정이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데 힘이 실리고 있다. 
 
최근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의 합병설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정치적 이해관계, 노조 반발, 부실자산 매각 등 현실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사진/뉴시스
 
21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국내 조선업의 구조조정을 위해 글로벌 컨설팅기업인 맥킨지에 지난 14일 조선 3사에 대한 컨설팅을 의뢰했다. 글로벌 조선시황, 업계 포트폴리오, 조선사별 구조조정 방향 등 국내 조선업계 전반적인 내용을 담은 1차 컨설팅 결과는 8월초 나올 예정이다. 컨설팅 결과가 조선업계 구조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정부는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각자 살길을 찾는 것으로 구조조정 방향을 잡았다. 앞서 지난 4월 한 매체는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기업 구조조정 추진 현황과 향후 계획’을 마련하는 관계기관 회의에서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합병에 대해서 긍정적이지만,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다”는 뉘앙스의 말을 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금융위는 즉각 해명 자료를 내고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합병 등의 사안을 전혀 검토한 적이 없고, 컨설팅 결과에 따라 업계 스스로 사업재편·설비감축 등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합병설에 대해 선을 그은 바 있다. 
 
그럼에도 시장에선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합병설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같은 합병설이 나온 배경에는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조선소가 거제에 있어 지리적으로 가깝기 때문이다. 또 삼성중공업은 드릴십 건조기술이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췄고, 대우조선해양은 액화천연가스(LNG) 선박 건조에 강점을 지니고 있어 두 회사가 합병할 경우 강력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조선사간 공급과잉 문제를 해소하고, 현대중공업과 맞먹는 초대형 조선사를 통해 중국, 일본 등 해외 조선사와의 경쟁에서도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유력한 합병 시나리오는 각 사의 해양플랜트 부문을 분리해 통합법인을 세우면 해양플랜트 역량을 결집하는 동시에 부실자산을 털어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급진적인 합병 구조조정 가능성은 매우 낮게 보고 있다.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얘기다. 증권가 한 연구원은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이 합병하면 다양한 부문에서 시너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합병 가능성을 논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면서 "대우조선해양의 주인을 찾아주는 게 급선무이고, 내년쯤이나 실질적인 구조조정이 이뤄지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다른 증권사 연구원 역시 “두 조선사의 합병은 이재용 부회장과 정부와의 거래 등 굉장히 복잡한 정치적 이해관계가 작용할 수 있어 쉽게 판단하기 어렵다”면서 “또 합병에 의한 구조조정의 핵심은 고정비를 줄이는 것, 즉 인력 감축 규모가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노조의 반발이 거셀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조선업계 구조조정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진행 중이다. 덴마크 선박금융기관 DSF에 따르면 올해 200여개 조선소가 문을 닫으면서, 글로벌 조선소 약 37%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1년치 미만 잔고를 보유한 조선소는 340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국의 경우 전체 수주잔량의 57%가 올 하반기에 모두 소진될 것이란 전망이다.
 
이경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금융위기 이후 짧은 시황회복과 선가 하락으로 투기적 수요가 다시 개입했다”면서 “적절한 구조조정이 이뤄지지 못했던 것이 현재 구조조정의 강도와 피해를 더욱 확대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김영택 기자 ykim98@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