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한풀 꺾인' ELS 인기..지수형 편식 현상은 여전
2014-12-08 16:58:50 2014-12-08 16:59:01
[뉴스토마토 최하나기자] 저금리 시대의 투자 대안으로 부각되며 인기를 누리던 주가연계증권(ELS) 시장의 기세가 한풀 껶였다. 하반기 들어 늘어나던 ELS 발행 규모가 다시 줄어들고 있다. 종목형 ELS의 발행이 거의 중단된 가운데, 지수형 ELS 편식 현상이 지속됐다.
 
8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SEIBro)에 따르면 지난달 ELS 발행건수는 1743건, 발행액수는 6조593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9월 ELS 발행액이 8조원을 넘어 사상 최대치를 나타낸 이후 10월, 11월 모두 발행액 6조원대를 기록하며 주춤한 모습이다. 11월 발행건수도 2000건을 넘겼던 10월 대비 감소했다.
 
◇올해 월별 주가연계증권(ELS) 발행규모. (단위:조원, 자료=한국예탁결제원, 뉴스토마토)
 
이는 지수 하락과 종목형 ELS 원금 손실(녹인 ·knock-in) 여파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해외 종목형 발행은 11월에도 없었고, 국내 종목형 ELS는 일시적인 발행 중단 상태로 판단될 만큼 저조했다. 삼성전자(005930)가 49억 발행에 그쳤고, 기아차(000270)KB금융(105560), 경남은행(192520), 현대모비스(012330) 등의 발행도 큰 폭으로 줄었다.
 
◇국내종목 활용 ELS 발행 규모 추이.
(자료=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한국예탁결제원)
국내 종목의 기초자산 활용 역시 꾸준히 감소세를 나타냈다. 지난 8월 49개 종목의 활용에서 9월 45종목, 10월 46종목을 기록한 후 11월에는 35종목에 그쳤다.
 
이중호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각 사별로 문제가 언급되고 있거나 발행이 부진한 종목형 ELS에 대한 발행 중단 움직임이 나타났다"며 "이 현상은 일시적인 것으로 보여 과거 경험상 2~3달 후에 재차 종목형 발행 증가가 나타날 수도 있지만, 최근 ELS 녹인이 종목형에 영향을 미치며 전반적으로 종목형 ELS에 대한 상황을 점검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11월 ELS 기초자산 비중은 해외 지수형이 64.4%, 국내 지수형이 34.4%, 국내 종목형이 0.6%, 종목형과 지수형이 동시에 포함된 혼합형이 0.7%로 집계됐다.
 
이처럼 지수형 독식현상이 계속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종목형 ELS 시장을 포기할 경우 지수형에 극단적으로 쏠려있는 기형적인 ELS 시장이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다만 시장이 좋아질 경우 상황이 개선될 수 있는 여지는 있다는 의견이다.
 
업계 관계자는 "종목형 ELS의 원금 손실 등 악재가 이어지며 지난달 투심이 위축된 상태라 자연스럽게 발행 규모가 축소됐다"며 "지수형 ELS 쏠림이 지속되는 불균형이 문제인데, 주가가 반등하고 시장이 살아난다면 수익률이 비교적 높은 종목형 ELS로의 관심과 발행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적인 ELS 발행 규모와 조합 감소에도 불구하고 신규 기초자산과 기초지수가 나타는 점은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국내 종목 가운데 GS홈쇼핑(028150)이 최초로 활용됐고, 퀘드자문이나 유리치자문의 특화지수가 국내 지수로는 신규로 활용됐다.
 
또한 최초로 해외지수 중 CSI3000지수가 활용됐다는 것도 특징적이다. CSI300지수는 중국의 지수 선물·옵션의 기초 자산이 되는 지수로 우리나라의 코스피200과 유사한 형태이며 구성종목이 300개다.
 
이중호 연구원은 "CSI지수는 중국 본토지수로써 중국 지수선물과 옵션의 기초지수가 된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크다"며 "CSI300지수 활용이 보편화 될 경우 중국 본토에 대한 투자 확대 여부는 물론 기존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500지수(S&P500, 유로스톡스50지수(SX5E)에 쏠려있는 해외 지수 활용 쏠림 현상도 해결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길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또 "종종 활용되고 있는 니케이225(NIKKEI225)나 iSOTXX도 좋은 기초자산으로 인정 받는 토대가 될 것"이라며 "CSI300지수의 등장 자체가 기타 해외지수를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이 외에도 활용 가능한 다양한 지수를 발굴해야 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ELS 발행 규모 집계에 대한 시각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중요한 것은 단순한 규모가 아니라 ELS 상품의 내실이기 때문에 ELS 발행에 있어 허수성 집계가 수정돼야 한다는 것이다. 발행 규모보다 발행사 상품의 구조, 수익 구조, 사후 관리 등으로 시장이 이동하고 있다는 점을 발행자들도 인지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실제 퇴직연금 전용 ELS·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 상품이 등장함에 따라 실제 ELS 구조와는 별 관련이 없는 퇴직연금 전용 상품으로 활용되는 측면과 회사간 거래에서 스왑(SWAP) 형태를 사용하지 않고 사모 ELS 발행 형태로 하면서 이에 따른 발행액 뻥튀기 영향 등 각 사별로 의미없는 발행 수치 경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호 연구원은 "이런 뻥튀기가 시장 전체에 좋은 영향을 미치지 못함과 동시에 어떤 특이 현상이 나타났을 때 그 영향이 과대 포장되는 단초를 제공한다"며 "이에 대한 대응과 자정노력이 필요하고, 단순히 발행액이 크다고 무조건 시장에서 우월적 지위가 있는 발행사라는 인식 역시 제고돼야 한다"고 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