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영상)청년·노년층 다중채무자 사각지대 우려
2금융권 다중채무 증가속도 가팔라
"분할상환 또는 저금리 고정금리상품 전환 필요"
2022-08-02 06:00:00 2022-08-02 08:08:02
 
[뉴스토마토 박진아 기자]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가 급증하면서 잠재부실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청년·노년층 등을 중심으로 고금리 제2금융권 다중채무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이들 부실을 감쌀 만큼 대비책이 마련돼 있지 않아 금융상품 개발 등 금융권 및 정책금융기관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둔화, 저금리, 주식·가상자산 열풍 등으로 금융권 다중채무자 수와 이들의 1인당 채무액은 급증 추세다. 실제 금융감독원과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4월말 현재 금융권 전체의 다중채무 차주 수와 채무액 규모는 각각 451만명, 598조8000억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7년말 416만6000명, 490조6000억원과 비교하면 각각 8.3%, 22.1% 증가한 수치다.
 
눈에 띄는 것은 30대 이하 청년층과 노년층의 다중채무가 큰 폭으로 늘었다는 점이다. 30대 이하 청년층의 다중채무액 규모를 보면 올해 4월말 현재 158조1000억원으로 2017년말 대비 32.9% 급증했다. 또 40~50대 중년층은 368조2000억원으로 16.2% 늘었고, 60대 이상 노년층은 72조6000억원으로 32.8% 증가했다. 
 
전체 다중채무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중년층이 가장 높지만, 증가 속도는 청년층과 노년층이 중년층에 비해 2배 이상 빨랐다. 1인당 다중채무액 역시 청년층이 29.4% 급증한 1억1400만원으로 증가율이 가장 빨랐고, 중년층은 10.4% 증가한 1억4300만원, 노년층은 10.3% 감소한 1억3000원이었다.
 
더욱이 업권 중에서도 제2금융권의 다중채무 증가 속도가 가팔라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다중채무액을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비중이 50.5%로 가장 높았고 상호금융권(19.3%), 신용카드사와 캐피탈사 등 여신전문금융업권(11.1%), 저축은행(5.2%), 보험(4.7%), 대부업권(1.4%) 순이다.
 
반면 채무액 증가율은 저축은행권이 78.0%로 가장 높았고 여전권(44.4%)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제2금융권에서는 상대적으로 대출금리 수준이 높은 신용카드사와 캐피탈사, 저축은행권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다중채무자 수와 채무액의 증가 속도가 빨라 부실 우려가 크다.
 
청년층과 노년층의 대출이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한 것은 가계대출 관리 강화와 자산 투자 및 생계형 자금 수요 증가가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문제는 다중채무자는 금리 상승기에 부실 위험이 더욱 커지는데, 이를 감쌀 제도적인 대비책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현재 금융권 및 정책금융기관의 프로그램만으로는 이들의 채무 자금을 조정하기엔 한계가 있다.
 
때문에 잠재부실이 현실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용상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채무자 입장에서는 과도하게 자산시장에 유입된 채무자금의 조정이 필요하며,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자본 및 대손충당금 등 손실흡수능력을 확충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신 연구위원은 "제도적으로는 다중채무자의 신용대출 및 일시상환대출을 중도 또는 만기도래 시에 분할상환방식으로 전환해주거나 저축은행 및 여전사 등의 고금리 상품을 여타 업권 또는 정책금융기관의 저금리 고정금리상품으로 전환해주는 프로그램의 개발 노력이 지속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 영등포구의 한 은행 창구 직원들이 고객들과 상담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