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기자의 '눈')경기둔화 속 인플레이션 경계해야
2021-08-23 06:00:00 2021-08-23 06:00:00
[뉴스토마토 용윤신 기자] 네 자릿수를 48일째 써내려가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세로 4차 유행발 거리두기 연장에 경기 둔화가 장기화 국면을 맞고 있다. 인플레이션에 이어 스태그플레이션(경기둔화 속 물가상승) 가능성까지 거론할 정도로 한국경제가 맞이한 난국은 심히 우려스럽다.
 
상반기부터 국제원자재 등을 중심으로 들썩이기 시작한 물가는 소비재로까지 전이된 후 추석을 한 달 앞두고 민생을 위협하고 있다.
 
지난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7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10.02(2015년 100기준)로 전월대비 0.7% 오르는 등 9개월 연속 상승세다. 1965년 1월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의 상승폭이자, 9년2개월 만에 최장 상승이다.
 
지난해 11월부터 9개월 연속 상승한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다. 일반적으로 1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소비자물가 상방압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미 상반기 소비자물가는 1.8%를 기록하는 등 한국은행의 전망치인 1.7%를 상회했다. 하반기 첫 달인 지난 7월 소비자물가도 2.6%로 넉달 연속 2%대를 유지하고 있다. 2.6%의 수치는 9년1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던 지난 5월과 같은 수준이다. 8월 소비자물가도 2%를 웃돌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특히 서민 체감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농축수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9.7% 상승했다. 달걀은 지난해보다 57% 급등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밀크 인플레이션' 우려도 현실화를 맞고 있다. 지난해 7월 낙농가와 우유업계는 리터당 21원 원유 가격에 합의했는데, 인상된 가격이 1년 뒤인 이달부터 적용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 20일 유업계 대금 지급일을 앞두고 물가 인상 등을 이유로 원유가격 인상안을 연말까지 6개월 유예하자고 제안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우유 인상은 덩달아 연계된 유제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우유뿐만 아니다. 라면, 과자 등의 식품 가격이 연달아 오르는 등 물가 상승 범위가 더욱 커지고 있다. 여기에 오는 26일 열리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금리 인상 단행 가능성도 민생경제에 치명타를 줄 수 있다.
 
자산시장 버블 등 금융불균형에 따른 통화 정상화는 필요한 정책이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우려 속에도 4차 유행발 민생 타격을 등하시할 수 없는 딜레마가 잔존한다.
 
기준금리를 0.25% 올린다고 해도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0.25% 올려도 금리는 여전히 0.75%로 낮은 수준이다. 허나 벌써부터 은행권의 금리 올리기가 예사롭지 않다. 신규 주택담보대출은 중단하고 신용대출 금리가 오르면서 아슬아슬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빠른 시일 내에 인플레이션을 잡지 못할 경우 경기 불황 속 인플레이션 충격은 스태그플레이션 전이로 경계할 부분이다. 물가 상승은 소비로 연결되는 돈이 줄면서 다시 경기침체로 빠지는 악순환 구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재정당국 역할의 중요도가 커졌다. 정부는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막대한 재정을 풀어 경기를 부양한다는 입장이나 조급한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만 커지고 있다. 부총리가 집값 우려를 표명하면 부동산이 오른다는 우스개 농담도 나올 정도다.
 
지난해 2월 시작된 코로나19가 벌써 1년7개월을 맞는 상황에서 장기화를 대비해 섬세한 민생경제 대책이 절실한 순간이다.  
 
세종=용윤신 기자 yonyon@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