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준형 기자] 올 들어 국내 증시에 신규 상장했거나 상장을 준비 중인 기업들 60%가 특례 상장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례상장 제도는 기업의 현재 실적이 상장 요건에 못 미치지만, 전망이 밝은 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상장을 허용하는 제도다. 특례제도 특성상 신약개발 등 바이오기업으로의 쏠림이 심했지만, 최근 들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업종이 대거 등장해 눈길을 끈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4월까지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거나 상장을 준비 중인 기업은 총 35곳으로 나타났다. 이중 기술특례상장을 시도한 기업은 총 22곳으로 전체 상장기업의 62%에 달한다.
기술특례상장은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상장을 위한 기본 재무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어도 기술의 혁신성 등을 인정받은 기업이 상장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다. 지난 2005년 바이오업종에 대해 최초로 도입됐으며, 바이오기업들의 증시 진입 통로로 활용됐다. 이후 대상업종 확대와 성장성 추천, 소부장 특례 등을 도입하면서 기술특례상장 기업도 늘고 있다.
특례상장의 증가세는 최근 이어진 기업공개(IPO) 열풍과 함께 신규 상장사 대부분이 높은 기업가치 평가를 받으면서 상장 재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기업들이 대거 IPO에 돌입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올해 기술특례상장을 시도한 기업들의 공모가는 모두 희망밴드 상단에 형성 되거나 상단을 돌파했다. 현재까지 수요예측 마친 기업 16곳 중 11곳이 공모가 희망밴드 상단을 넘어섰으며, 5개 기업은 공모가가 희망밴드 최상단을 기록했다.
미래 성장성이 높은 기업들이 증시에 대거 진출하면서 특례상장 기업의 업종도 다변화되고 있다. 과거 기술특례상장은 대부분 바이오·헬스케어 업종에 집중됐다. 지난 2019년 코스닥 시장에 기술특례로 상장한 기업은 총 23곳이었으며, 이중 73%인 17개 종목이 바이오업종이었다. 올해 들어선 반도체나 2차전지 관련 소재·부품·장비 기업과 IT기업 등이 바이오업종 비중을 앞질렀다.
다양한 상장 요건을 통해 성장성이 높은 기업의 상장이 확대되는 것은 증시에 전반적으로 환영할 일이지만 아직 실질적으로 이익을 내지 않는 기업들이 많은 만큼 투자에 주의도 필요하다.
최종경 흥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다양한 기술 기업들의 증시 상장은 환영할 일이지만 증가속도가 너무 빠르다”며 “일반적인 실적 요건보다 기술 및 기업의 성장성과 시장 평가에 의존한 기업들의 신규 상장이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것은 주목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
3월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서울사옥에서 열린 '네오이뮨텍 코스닥시장 신규상장 기념식'에 참석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박준형 기자 dodwo90@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