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기자의'눈') '전동킥보드 주차' 기술만큼 의식도 중요
2020-09-14 06:00:00 2020-09-14 06:00:00
지난 5월20일 공유 전동킥보드 업계의 숙원이 풀렸다. 도로교통법이 개정되면서 전동킥보드가 '개인형 이동장치'로 분류됐기 때문이다. 오토바이와 같은 원동기 장치로 분류돼 차도를 달려야 했던 전동킥보드는 이제 자전거 도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면허 없이도 전동킥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공유 전동킥보드 업체는 공격적으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에서 운영 중인 공유 전동킥보드는 16개 업체, 약 3만5800대다. 도로교통법 개정안 통과 전인 지난 5월(1만6500여 대)보다 약 두 배 늘었다. 많은 시민이 라스트마일 이동 수단으로 전동킥보드를 이용하게 됐다. 코로나19로 사람이 밀집한 대중교통을 피하는 사람들에게도 좋은 대안이 됐다 
 
그러나 주차 문제가 터져 나왔다. 비고정형인 공유 전동킥보드는 아무 곳에나 반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한 만큼, 아무 곳에나 널브러져 시민들에게 불편함을 줬다. 이에 전동 킥보드 주차 관련 민원이 크게 늘었다. 도로와 인도 한가운데, 지하철역 입구, 가게 앞 등 상상을 초월하는 장소에 전동킥보드가 세워진 모습을 자주 발견할 수 있었다. 조금만 구석에, 사람들의 진행 방향이 아닌 곳에 주차하면 서로서로 편할 텐데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공유 전동킥보드 업체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분군투 하고 있다. 부족한 시민의식 문제를 기술로 해결하려는 시도가 등장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위성항법시스템(GPS) 등 각종 기술과 할인 프로모션까지 동원됐다. 일레클을 운영하는 나인투원은 최근 머신러닝 모델을 적용해 거치대에 기기를 반납하면 즉시 이용료를 할인해 주는 등 올바른 장소 주차를 유도하고 있다. 일레클은 지난해 세종시에서 관련 기술을 도입해 50%가 넘는 거치대 반납율을 달성하기도 했다. 공유 전동킥보드 업체 '씽씽'과 '라임'도 최근 '바른 주차 캠페인'을 진행했다. 
 
기술로 유인하기 보다,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자발적인 인식 변화가 일어나길 바란다. 캠페인과 할인 프로모션은 임시방편에 불과하다. 이미 폭발적으로 늘어난 공유 전동킥보드가 우리 사회에 잘 녹아들려면 사용자의 근본적인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사람들이 내가 타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이것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 나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인지해야 한다. 사용자들이 나의 편의와 타인의 편의를 함께 생각하는 태도를 가져야만 편리한 전동킥보드를 오래오래, 문제없이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배한님 중기IT부 기자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