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더 높아진 은행 문턱에 중소건설사 '비상'
제도권 금융 대출 어려워 개인담보 대출로 연명
지방 사업장 편견 때문에 100% 계약하고도 대출 못 받아
2016-12-04 11:00:00 2016-12-04 11:00:00
[뉴스토마토 최승근기자] 갈수록 상승하는 은행 대출금리에 중소 건설사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대형 건설사에 비해 신용등급이 낮거나 아예 없는 경우가 많고, 담보 또한 부실해 시중은행에서 정상적인 대출이 어려운 탓이다. 매년 연말과 연초 최소 자본금을 맞추기 위해 반복되는 일이지만 올해는 유난히 힘들다는 목소리가 높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건설사들은 '건설업 관리지침'에 따라 종합건설은 토목 7억원, 건축 5억원, 토목건축은 12억원 이상, 전문건설업은 업종에 따라 최소 2억원 이상의 자본금을 유지해야 한다. 연말 결산시기인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예금잔고로 자본금을 증명해야 한다. 충족하지 못할 경우 영업정지 또는 등록말소 처분을 받게 돼 사실상 시장에서 퇴출된다.
 
보통 시중은행에서 법인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신용등급이 BBB+ 이상이어야 하지만 지방 중소 건설사의 경우 신용등급이 턱없이 부족하거나 아예 등급이 업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이 때문에 제2금융권이나 사채시장에서 자금을 끌어와야 한다. 하지만 정부의 가계대출 심사가 강화되면서 제2금융권의 대출도 거의 끊긴 상황이다.
 
중소 건설사의 경우 대부분 개인기업이다 보니 제도권 금융보다는 지인이나 친척으로부터 자금을 빌리는 경우가 많다.
 
중소 건설사 관계자는 "자본금 확보가 회사의 생존과 연결되다 보니 비싼 사채를 끌어서라도 맞춰야 한다"며 "회사 담보나 신용대출이 불가능해 대부분 개인재산을 담보로 자금을 빌려오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실제로 IBK경제연구소가 발표한 '2016년 중소기업 금융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중소 건설사의 자금 조달계획을 묻는 질문에 83.3%가 회사 유보 자금(대표이사 개인자금 포함)으로 충당 한다고 답했다.
 
직접금융을 통한 자금조달에 나서지 않는 이유로는 '기업규모 등 발행요건 미충족(64.8%)' 때문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향후에도 '직접금융을 통한 자금조달 계획이 없다'는 응답이 88.9%에 달했다.
 
청약 성적이 좋아도 '지방'이라는 꼬리표 때문에 대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많다. 지방 부동산 침체 여파에 은행들이 대출 문턱을 더욱 높였기 때문이다. 집단 대출을 해줄 은행을 찾지 못해 분양계획이 지연되고, 일부는 서울 및 수도권 건설사에 비해 0.2~0.4%가량 높은 금리를 부담하고 대출 협약을 맺기도 한다.
 
한국주택협회 집계를 보면 8.25 대책 이후 분양한 사업장 중 중도금 대출 협약을 완료한 곳은 42곳 중 8곳에 불과했다. 8곳 중 지방은 입지가 좋은 부산, 세종뿐이었다.
 
충남 당진의 한 중소 건설사 대표는 "100% 계약을 달성했지만 지방 사업장이라는 이유로 1금융권의 대출이 거부되기도 하고 대출을 분담할 다른 은행을 섭외해 오라는 요구도 있었다"며 "이런 식으로 가면 제대로 영업을 하는 건설사들도 퇴출될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정부의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자금줄이 말라 버린 중소 건설사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서울 한 은행의 대출 상담 창구 모습. 사진/뉴시스

 
최승근 기자 painap@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