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저유가 시대 해외수주 관건은 '금융'
자원수출국 재정 악화됐지만 인프라 수요 여전히 높아
2015-12-13 11:00:00 2015-12-13 11:00:00
[뉴스토마토 최승근 기자] 저유가 기조로 국내 건설사의 수주난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정책금융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석유 수출 의존도가 높은 중동지역 뿐만 아니라 자원을 수출해 재정을 충당하고 있는 국가들의 경우 인프라 수요는 높지만 자금 사정으로 발주를 못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를 지원해 줄 금융지원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이다.
 
최근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생산량 감축 합의 실패 여파로 국제유가가 7년 만에 최저치에 임박할 정도로 급락하면서 산유국들의 부도위험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다. 세계 최대 산유국인 러시아를 비롯해 OPEC 국가들과 브라질, 멕시코 등 자원부국들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급상승하고 있는 추세다.
 
CDS프리미엄은 채권을 발행한 국가가 부도날 경우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금융파생상품으로, 부도 확률이 높으면 오르고 낮으면 떨어진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 등 각종 국제기구에서는 저유가 현상이 더 길어질 경우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국가들의 재정이 바닥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 바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전체 수입의 80%를 원유 수출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건설사의 수주 비중이 가장 높은 중동국가들을 비롯해 아프리카, 독립국가연합(CIS), 신흥경제국(BRICs) 등에서 내년도 인프라 사업이 크게 축소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각국의 내수 경기 활성화와 경제 기반 구축을 위해 인프라 수요는 높지만 재정여건이 악화되면서 발주를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에서는 국내 정책금융의 지원이 꼭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대규모 인프라 사업의 경우 수년에 걸쳐 공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향후 경제 상황이 개선될 것을 감안해 수주전을 준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초기 공사비를 감당할 수 있는 재원이 필요한데 이 때 정책금융의 역할이 필수적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공사 막바지에 대금을 지급하는 '헤비테일' 결제 방식이 건설업계에도 일반화 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으면서 금융권에 공사비에 대한 대출이나 보증을 요구하는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통 수주산업의 경우 프로젝트 진행률에 따라 해당 대금을 지급하는데 헤비테일 방식은 공사 막바지로 갈수록 대금 지급률을 높이는 형태다. 때문에 초기 공사비를 건설사나 조선사가 부담해야 한다.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신흥국이나 개도국의 경우 인프라 수요는 높지만 최근 저유가로 인해 자금사정이 악화되면서 발주를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국책은행이 해외 사업에 장기 저리의 공사비를 지원하거나 지분 투자를 해줄 경우 수주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유가 시대가 장기화되면서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수주를 위해서는 정책금융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건설업계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현대건설이 건설한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지역의 대규모 가스 플랜트 전경. 사진/뉴시스
  
최승근 기자 painap@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