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계열사 6년간 559개 늘었다"
대기업 집단 2009년 48개에서 2015년 61개로 증가
2015-09-17 15:19:37 2015-09-17 15:19:37
자산규모 5조원 이상의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규모기업집단)이 13개 늘었으며 이들의 계열회사는 총 559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강기정 의원(사진)은 17일 공정거래위원회의 '자산 5조원 이상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지정현황'을 분석한 결과 "2009년 대비 재벌대기업들의 계열사 및 자산, 매출액 등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수는 2009년 48개(민간 40개·공기업 8개)에서 2015년 현재 61개(민간 49개·공기업 12개)로 13개 늘어났으며, 같은 기간 계열회사 수는 1137개에서 1696개로 559개 증가했다.
 
이들의 자산총액은 2009년 1310조6000억원에서 2015년 2258조4000억원으로 947조8000억원 증가했으며, 매출액은 같은 기간 1009조8000억원에서 1505조1000억원으로 495조3000억원 증가했다.
 
이 중 공기업을 제외한 10대 민간집단 계열회사 수는 2009년 483개에서 2015년 598개로 115개 늘어났으며 이는 전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계열사 증가분의 23.8%에 해당하는 수치다.
 
자산총액에 있어서는 2009년 660조6000억원에서 1173조8000억원으로 513조2000억원 증가해 전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자산총액 증가분의 77.7%를 차지했다.
 
강 의원은 그러나 "1인당 국민소득(GNI)은 2008년 2만463달러에서 2014년 2만8180달러로 37.7% 증가에 그쳤다"며 "국민보다 재벌대기업 편중 결과나 나타난 것은 지난 정부 7년 동안 경제민주화 후퇴, 가계부채 폭증 등 사회는 어려워지는 반면 기업규제개혁, 법인세완화 등 재벌기업 봐주기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강 의원은 "기업이 성장하고 발전하는 것은 좋지만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그 과실이 국민과 기업들에 골고루 나누어지지 않고 기업에만 편중될 경우 지속가능한 성장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며 "경제정책의 중점 방향을 재벌대기업이 아니라 중소기업과 국민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고은 기자 atninedec@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