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홈쇼핑은 못 파는' 지역상품 파는 케이블TV
2025년 6월까지 가능해진 사업…제품 브랜드화하고 정규편성까지
수익률 2.6%에 불과…지속가능성 위해 "제도 완화 필요"
2023-07-24 08:00:11 2023-07-24 08:00:11
[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케이블TV업계가 지역상품 판매자 역할을 자처하고 나섰습니다. 코로나로 소비가 줄고 판로가 막혀 산지폐기를 고민하던 농산물 판매를 시작으로,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지역 농민과 소상공인의 판로 개척에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지역채널 커머스방송 시행 만 2년차가 지난 시점에서 업계는 지역 농산물을 브랜드화하거나 커머스방송을 정규편성하는 등 본격적인 채비에 나섰습니다. 다만 사업의 영속성 확보와 지역상생 증진을 위해 관련의 제도 완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2025년 6월까지 가능해진 사업…제품 브랜드화하고 정규편성까지 
 
지역채널 커머스방송은 케이블TV가 지난 2021년 6월 정보통신기술(ICT) 실증특례를 받으면서 시작됐습니다. 케이블TV업계는 소상공인 제품과 지역 특산품·특산물 관련 커머스방송을 지속하게 해달라며 실증특례 연장 신청을 했고, 정부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사업 기간은 오는 2025년 6월까지 연장됐습니다. 
 
2년이라는 기간으로 사업의 영속성이 생긴 케이블TV업계는 커머스방송을 통해 지역상생 모델 만들기에 분주한 모습입니다. 
 
SK브로드밴드가 커머스방송 본격화를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SK브로드밴드) 
 
LG헬로비전(037560)은 올해부터 사업 및 상품 기획, TV·온라인몰 운영 등 기능을 세분화했습니다. 조직도 키웠습니다. 관련 팀을 3개로 확대했으며, 인력은 전년 대비 2배 정도 늘렸습니다. 특히 올해는 커머스상품을 만드는 데 집중한다는 계획입니다. 지난달 선보인 '해남김치'는 지자체와 공동개발한 지역상생 1호 상품입니다. 원재료와 생산업체·브랜드 개발까지 지역이 주인공이 되는 상품으로 올해 추가적으로 상품을 론칭할 예정입니다. 
 
SK브로드밴드 케이블은 올해 4월부터 지역채널 커머스 방송 해피 마켓을 정규 편성했습니다. 이달에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지역 우수 상품을 공동 발굴하고 직거래 유통을 확대하기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습니다. 
 
딜라이브와 HCN도 특산품 판매에 어려움을 겪는 농어민에게 안정적 판로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딜라이브는 상반기 김치, 바다장어, 통민어 등 14개 상품을 판매했습니다. 하반기에도 샴푸, 지역쌀, 배즙, 오리로스 등 계절성을 고려한 소상공인 제품 마련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HCN은 최근 상주시와 협업해 '힘내라 청년농부' 기획전을 진행했습니다. 초반에 판로 확보가 어려운 귀농 청년 농업인에게 판매 기회를 제공해 정착을 돕기 위한 취지였습니다. HCN은 중소 규모 물량의 판매 부담을 덜고 지역 상인과 소비자에게 실질적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품목을 지속 발굴할 예정입니다. 
 
수익률 2.6%에 불과…지속가능성 위해 "제도 완화될 필요 있다" 
 
실증특례제도가 연장됐지만 장벽은 여전합니다. 실증특례상 케이블TV는 정부·지자체 소비촉진행사나 축제 등과 연계해, 하루 최대 3시간 동안 3회 이내로 커머스방송을 편성할 수 있습니다. TV 시청 메인 프라임 시간대에는 편성할 수 없고 지자체 추천을 받아 연 매출 4억원 이하 소상공인과 지역농어민 상품만 판매할 수 있습니다. 사업자의 최소한의 수익보전과 지역상생이라는 목적달성을 위해 제도가 완화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김용희 동국대 교수는 "지역 농가나 소상공인의 유통 수요는 커지고 있지만, 현재의 제도 안에서는 이 수요를 받을 수 없는 구조"라며 "최소한의 수익성 보전을 위해 방송시간을 6시간으로 늘리고, 편성제약도 풀어줄 필요가 있어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커머스 방송을 위한 투자와 판매자들의 이익보전을 감안할 경우 케이블TV 사업자 입장에서 1000원짜리 물건을 팔면 26원 정도가 남는다는 게 업계의 공통적 이야기입니다. 이들의 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방송시간을 늘리고, 시청에 방해가 안 되는 선에서 편성의 자유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상품의 선정도 사후규제로 전환할 필요성이 제기됩니다. 지자체 추천을 받아 정부에 허가를 받은 상품만 유통이 가능한데, 사업자 자율성을 키워 다품종 소량공급 통로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김 교수는 "반기나 분기 기준 모니터링을 하는 조건으로 사업자에게 상품기획의 폭을 넓혀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며 "연 매출 4억원 이하 소상공인과 지역농어민 상품 기준도 10억원 정도로 늘려 다품종 소량 유통이 가능한 체계를 만들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중기IT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