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브렉시트로 하반기 한국경제도 '비상'
금융시장 충격에 교역위축 불가피…"추경편성 등 적극적인 부양대책 필요"
2016-06-26 14:12:23 2016-06-26 14:12:23
[뉴스토마토 박진아기자]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Brexit·브렉시트) 결정으로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하반기 한국경제도 빨간불이 커졌다. 이미 조선·해운 관련 산업 구조조정과 같은 민감한 경제 이슈가 산적한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대외 변수까지 겹쳐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장기간 지속된 저성장이 누적되면서 악화되고 있는 경제 주체 심리와 올 하반기 산업 구조조정 시행으로 국내 경기 충격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경정예산과 같은 적극적인 경기부양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26일 정부와 금융권 등에 따르면 지난 24일 브렉시트가 현실화되자 한국경제는 고스란히 충격에 노출됐다. 국내 주식과 채권, 외환 등 금융시장은 '검은 금요일'의 공포에 크게 휘청거렸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29.7원이나 급등하면서 1179.9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의 하루 변동폭은 최대 33원20전으로 2011년 9월23일(46원) 이후 4년9개월여 만에 가장 컸다.
 
주식시장도 공포에 휩싸였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거래일보다 61.47포인트(3.09%) 떨어진 1925.24로 마감해 2012년 5월18일(62.78포인트) 이후 4년여 만에 최고 낙폭을 기록했다. 코스닥지수도 브렉시트 개표 결과에 하락폭을 키우면서 장중 한 때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다. 
 
채권시장에서도 국고채 금리가 일제히 하락(채권값 상승)하면서 사상 최저 기록을 갈아치웠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8.8bp(1bp=0.01%포인트) 내린 연 1.249%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수준인 연 1.25% 밑으로 떨어졌다.
 
금융시장의 충격에 당국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기획재정부는 최상목 1차관 주재로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를 두 차례나 열었고, 한국은행도 통화금융대책반회의를 소집하고 시장 상황을 점검했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오후 6시에 해외 출장에서 돌아오자마자 경제상황점검회의를 소집, 향후 경제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정부는 브렉시트 결과에 따른 우리나라 경제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긴장감을 늦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최상목 기재부 1차관은 "우리나라는 위험도가 낮고 직접적인 영향도 제한적일 것"이라면서도 "당초 시장은 영국의 잔류를 예상했지만, 영국의 EU 탈퇴로 결정됨에 따라 향후 영국 및 글로벌 금융시장의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문제는 가뜩이나 먹구름이 잔뜩 낀 하반기 한국 경제에 또다른 변수가 생김으로써 험난한 가시밭길이 예고돼 있다는 점이다. 이미 국내 경기는 장시간 저성장으로 피로감이 누적되면서 경제 주체들의 심리 악화가 개선될 여지가 불투명한 사상 초유의 늪지형 불황 국면에 처해있다. 
 
특히 하반기 국내 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대량 실업 사태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돼 경기 충격 우려도 크다. 여기에 브렉시트 현실화로 영국·EU 수출 타격도 불가피하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한층 커진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국내 경기로 전이되지 않도록 경기 충격 완화를 위한 적극적인 부양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브렉시트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차단, 국내 경제의 저성장 고착화 방지, 올해 하반기 산업 구조조정의 여파로 인한 국내 경기 충격 완화 등을 위해 추경 편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홍 연구위원은 "추경의 경기부양 효과는 완화적 통화정책과의 공조가 이뤄졌을 때 극대화되기 때문에 사상 최저치로 기준금리가 인하된 만큼 추경 편성이 지체되면 안된다"며 "적극적인 경기 진작을 위해 필요한 추경 규모는 최소 11조5000억원에서 최대 26조6000억원"이라고 주장했다.
 
(사진=뉴시스)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