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박상효

"고향서 먹고 살게 없다"…지방 떠나는 청년들

2022-04-01 07:53

조회수 : 2,736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지난해 영남지역 청년(15~34세)들 5만여명이 수도권으로 순유출 되는 등 수도권 초집중화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일자리가 없어 지방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떠나면 비수도권의 인구 유출이 심각해질 수 있는 만큼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 따르면 청년층의 수도권 유입 및 유출 현황은 2021년 기준 동남권(부산·울산·경남지역)의 순유출자가 3만여 명으로 가장 많고 대경권(대구·경북지역)이 2만여 명, 이어 호남권이 1만3000여 명 순이다. 동남권과 대경권에서 수도권 순유출자가 많게 나타나는 경향은 최근 5년간 지속돼 왔다.
 
반면 충청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순유출자는 2019년(8092명) 이후 많이 감소했으며, 수도권에서 강원·제주권으로 유입되는 인구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지역 간 이동은 진학과 취업이 목적이다.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 진학을 위한 이동 현황을 살펴보면, 지역 내 대학에 머무르는 비율(잔존율)은 2010년에는 호남권 74.2%, 대경권 72.9%, 수도권 71.0%인 반면, 2018년에는 호남권 69.2%, 대경권 63.2%, 수도권 65.3%이었다. 즉 지역 내 대학으로 진학하는 비율은 해가 지날수록 전반적으로 다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으로의 진학을 위한 이동 현황은 대경권과 강원·제주권은 2010년에 비해 많이 올라갔고 동남권은 낮아졌지만, 동시에 수도권 학생의 비수도권으로의 진학을 위한 유출도 상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과거 지역 내 고졸자들의 상당수가 수도권 대학으로의 진학을 위해 많이 이동했던 것과는 달리, 최근 들어선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의 진학 목적의 이동도 많이 이뤄지고 있다는 의미다.
 
청년층의 취업을 위한 이동 현황을 살펴보면, 해당 지역에 직장을 구해 머무르는 비율(지역 내 잔존율)은 2018년 기준 비수도권에서는 동남권(70.1%)이 가장 높고 충청권(35.3%)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도권(87.8%)의 지역 내 잔존율은 비수도권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지역 내 잔존율은 2010년과 비교해도 큰 차이는 없는바, 대학 진학 이후 취업까지 수도권에 머무르는 경향이 여전히 매우 강력함을 의미한다.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취업을 위한 유출률을 따로 살펴보면, 충청권(56.9%) 및 강원·제주권(55.3%)에서 일반대학 졸업자의 수도권 지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백원영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청년층의 지역이동은 비수도권으로의 이동이라 할지라도 ‘기대임금’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며 “지역에서 충분히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한다면 고급인력의 지역 이주뿐만 아니라 지역인재의 정착 가능성 또한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청년인구 유출을 막기 위한 시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청년 정착률을 높이기 위해 지역 인프라 조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 그대로 두었다가는 '지방 소멸'은 더욱 가속화할 수밖에 없다.
  • 박상효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