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관론 vs 비관론…엇갈리는 분양시장 전망
미분양 증가에 시장 침체 우려 확산
"공급 확대에 따른 일시적 미분양 증가에 불과"
2016-01-04 15:50:10 2016-01-04 15:50:27
[뉴스토마토 성재용 기자] 2016년 첫 달 전국에서 지난달보다 증가한 분양물량이 쏟아질 예정이다. 건설업계에서는 각종 규제와 과잉공급에 대한 우려가 시장에 악재로 작용하기 전 공격적인 전략을 펼친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미분양이 확대되는 등 이미 '경고등'이 켜진 상황에서 주택시장이 또 다시 침체의 늪에 빠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반해 일시적 미분양 증가는 구조적 수급불균형에 불과한 것으로 주택시장의 우려는 시기상조라는 엇갈린 전망도 만만치 않게 나오고 있다.
 
4일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이달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은 26개 단지 총 1만7938가구로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1만4693가구가 일반에 공급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만1983가구)에 비해 22%가량 증가한 규모다.
 
1월은 전통적으로 분양시장 비수기로 꼽히지만, 지난해 연말 계획됐던 분양이 늦춰지면서 해를 넘긴 물량이 있는데다 올해는 2월부터 시행될 가계대출 강화 방안과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비해 건설사들이 분양을 서두르면서 연초부터 분양이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시장 분위기가 이미 냉각됐다는 점이다. 지난해 하반기 들어서 정부의 정책 기조가 규제완화에서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대응 등 리스크 관리로 돌아섰고 분양물량 증가에 따른 공급과잉에 대한 우려도 커졌기 때문이다. 또 미국 금리인상 등 비우호적인 시장 환경이 부각되면서 수요자들은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국토교통부에 의하면 11월 말 기준 미분양주택은 4만9724가구로, 한 달 새 54.3% 증가했다. 이는 전월대비 증가율로는 역대 최대급이다. 종전 기록은 2003년 12월에 전월대비 36.3% 늘어난 것이 최고 증가율이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그동안 우려했던 것은 주택시장 선행지수인 인·허가 물량이 급격히 증가해 향후 입주시점에 미분양이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었는데, 이번에는 후행지수인 미분양까지 급격히 늘어났다"며 "건설업계의 밀어내기 분양과 미국 금리인상, 정부 대출규제, 고분양가 등 부동산 4대 악재가 앞으로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예상보다 클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망했다.
 
김규정 NH투자증권(005940) 부동산연구위원도 "지속적으로 분양이 진행된 지방이나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는 과잉공급이 현실화될 수 있다"며 "웃돈 규모가 줄거나 빈집 사태가 나타날 수 있고 일부에서는 집값 조정도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낙관론도 나온다. 미분양이 대폭 늘긴 했지만,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오히려 줄고 있고 건설사들이 자율적으로 분양물량을 조절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11월 한 달간의 미분양 증가로 과잉공급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권주안 주택산업연구원장은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아파트 수요층이 단단하게 자리하고 있다는 반증"이라며 "과잉공급 논란은 지난해 초부터 이어져왔는데, 수요가 뒷받침되면서 악성 미분양 물량은 꾸준히 줄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실장 역시 "일시적으로 공급이 많다고 지적하면 이해가 되지만, 기반시설이 잘 갖춰져 있거나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들은 대기수요자들이 많아서 과잉이라고 말하기 어렵다"며 "단순히 분양물량이 많으니 모든 지역을 두고 과잉공급이 우려된다고 하기보다는 같은 지역 내에서도 단지별로 세분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윤지해 부동산114 연구원은 "과잉공급 또는 수급불균형 문제가 불거지지 않도록 사전 대응과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올해 분양시장이 작년과 같은 호황을 이어갈 수 있을까. 낙관론과 비관론이 혼재하면서 여전히 안개 속이다. 사진은 지난달 서울에서 공급된 '휘경 SK VIEW' 견본주택 내. 사진/뉴스토마토 DB.
 
성재용 기자 jay1113@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