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S 위치보정정보, 접속제한없고 정확도 높아진다
국토부, 실시간 '단방향위치보정정보 송출시스템' 도입·서비스 실시
2012-05-07 09:42:01 2012-05-07 09:42:45
[뉴스토마토 원나래기자] GPS 접속제한이 없어지고, 정확도도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국토해양부은 실시간 정밀 GPS 측량시 접속자수에 제한이 없고 위치보정정보 정확도도 3㎝이하에 이르는 '단방향위치보정정보 송출시스템(FKP:Flat Korrect Parameter)'을 도입해 올해 안에 전국에 서비스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실시간 정밀 GPS 측량은 전국의 위성기준점을 이용해 생성한 위치보정정보를 송신 서비스하는 것으로, 이번에 국토지리정보원이 도입한 FKP는 많은 사람이 지상파 방송국의 실시간 인터넷 방송을 보듯 일방적 위치보정정보 수신을 가능케 해 접속자 수에 제한이 없다.
 
그간 사용돼온 '가상기준점(VRS:Virtual Reference Station)' 방식은 인터넷 통신모뎀을 통한 사용자-서버간 양방향 송수신 시스템이다. VRS의 서비스 회선이 200회선으로 제한돼 200명 이상이 동시 접속할 경우 위치정보를 제공해주는 서버의 렉(wreck) 발생 등의 문제점이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또 지난해 12월부터 국토지리정보원이 설치한 통합기준점에서 시범서비스를 실시한 결과 통합기준점의 평면좌표값과 차이는 평균 3㎝ 미만으로, 일반측량 사용에도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중 내륙지역, 내년엔 도서지역으로 확대 서비스할 예정으로 FKP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제공되면 위성측량시간 단축 및 측량비용 절감 뿐 아니라 위치정보제공 서비스 관련 산업도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