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금융시스템 최대 위협요인 "자금조달 악화 따른 부실"
가계부채 상환부담 증가도 우려 수준
2022-11-27 12:00:00 2022-11-27 12:00:00
[뉴스토마토 박진아 기자] 국내외 금융·경제전문가들은 올 하반기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을 가장 위협하는 최우선 요인으로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위험을 꼽았다. 전문가들은 자금시장 경색 방지를 위해 금융당국의 적극적은 유동성 공급 및 시장과의 소통 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자료=한국은행)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22년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경제전문가 72명 중 27.8%는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위험 증가'를 1순위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외 금융·경제전문가 72명을 대상으로 지난 11월2일부터 9일까지 실시했다.
 
응답자들이 1순위로 선택한 대내외 리스크 요인을 보면 2위는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부담 증가'가 16.7%를 차지했다. 이어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우려'(13.9%), '국내 시장금리의 급격한 상승'(12.5%) 등을 선정했다. 대외 리스크 요인으로는 '글로벌 자산 가격의 급격한 조정'(4.2%)을 꼽았다.
 
응답자들이 선택한 5개 리스크 요인을 중요도에 상관없이 단순 집계한 단순 응답빈도수 기준으로 보면 대내 리스크 요인으로는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부담 증가'(69.4%),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위험 증가'(62.5%),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우려'(48.6%), '국내 시장금리의 급격한 상승'(43.1%), '부동산 시장 침체'(36.1%) 등을 지목했다. 대외 리스크 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34.7%) 등을 선정했다. 
 
이들 주요 리스크 요인 중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위험 증가',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우려', '국내 시장금리의 급격한 상승',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 등의 리스크는 대체로 1년 이내 단기에 발생할 것으로 응답했다. 또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부담 증가',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은 주로 중(1~3년)·단기에 위험이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국내 시장금리의 급격한 상승'은 발생 가능성이 높고 영향력도 큰 것으로 평가했다. 반면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우려',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위험 증가',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의 발생 가능성은 비교적 높지 않으나 발생 시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리스크 요인의 응답률을 지난 상반기 서베이와 비교 시 눈에 띄는 것은 신규 리스크 요인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3개 요인이 신규 리스크로 지목됐는데,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위험 증가'(62.5%),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우려'(48.6%), '부동산 시장 침체'(36.1%) 요인이 새롭게 선정됐다. 
 
특히 금융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단기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은 지난 서베이보다 크게 높아졌고,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기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도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우리나라 금융시장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는 지난 서베이 대비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금융취약성이 가장 부각될 것으로 판단되는 금융업권으로는 저축은행, 증권사, 캐피탈사 등 비은행업권을 지목했다. 저축은행의 경우 높은 취약차주 비중에 따른 자산 부실화 및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화 우려가 높고, 증권사 또한 부동산 PF 익스포저가 높아 우발채무 현실화 등 신용·유동성 리스크에 취약하다는 평가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 안정성 제고를 위해 자금시장 경색 방지를 위한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유동성 공급과 시장과의 소통 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 관리와 더불어 금융시스템 내 잠재리스크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금융당국의 스트레스 테스트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 가계부채 및 경기침체 등을 감안한 금리인상 속도 조절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서울 시내 한 은행영업점의 기업고객 창구 모습. (사진=뉴시스)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