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스마트공장 확산 기대…실효성 확대는 과제"
지원금 분할·시스템 공유 등 도입 유인 높여야…자부담률 확대는 입장차
2018-12-13 16:47:31 2018-12-13 16:59:35
[뉴스토마토 강명연 기자] 스마트공장 확산에 속도를 내겠다는 정부 발표에 스마트공장 공급업체와 스마트공장 도입을 고려하는 제조업체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다만 스마트공장 도입 초기단계에서 지원금을 나눠서 받을 수 있게 하거나 유사 업종이 시스템을 공유하는 스마트산단 구상을 구체화하는 등 제도 실효성을 높일 방안이 함께 고려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선 자금 부담으로 스마트공장 도입을 망설이던 중소기업들은 정부 지원금 확대를 반기고 있다. 정부 매칭자금이 기초단계와 고도화 단계에서 각각 2배, 1.5배 확대되면서 업체당 지원가능 금액이 최대 5000만원에서 1억원, 1억원에서 1억5000만원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 구축 이후 자금부담이 큰 하드웨어 도입 단계에서 정책 금융기관의 보증과 금리지원 역시 자금조달이 어려운 영세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을 유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업계에서는 초기 단계에서 기업들이 지원금을 분할해서 받을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내년도 초기단계 지원금인 1억원을 한꺼번에 받은 뒤 시스템 구축에 실패할 경우 재지원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기업 상황에 따라 시범사업 성격으로 자재관리나 재고관리 등 기본적인 시스템을 우선 도입해본 뒤 시행착오를 거쳐야 좀 더 효율적인 솔루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번에 새로 도입하기로 한 스마트산단을 활용해 유사분야 기업이 공동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지원하면 효율적인 도입이 가능하다는 게 업계 의견이다. 초기 구축을 정부가 지원하고 기업으로부터 사용료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하면 기업들은 실패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규모가 작은 기업들이 개별적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경우 이를 위한 전문인력 고용도 부담인데, 공동으로 꼭 필요한 인력을 활용하면 인력 유출도 막을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스마트공장 솔루션업체인 유플렉스소프트의 김병섭 대표는 "기업들 상황에 맞게 스마트공장을 구축해야 하는데 한꺼번에 하려다보니 문제가 발생해도 고치기 쉽지 않다. 자금을 분산할 필요가 있다"며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 인력을 고용하면 다른업무와 병행해야 하는 게 현실이다. 전문성을 기르기 힘들어 이직이 잦은데 분야별 공동구축으로 스마트공장을 전담하는 인원을 쓰면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자금여력이 부족한 소기업에게는 여전히 자부담률이 높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 제조업체 대표는 "정부가 스마트공장을 제대로 확산하려면 현재 기초단계 5대 5, 고도화단계 3대 7의 부담을 줄여야 효과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자부담이 너무 적을 경우 필요에 의한 도입이 아니라 지원받으려는 수요가 많아져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다른 스마트공장 솔루션업체인 무른모의 황순관 대표는 "지자체와 정부가 지원할 경우 자부담이 30%까지 떨어진다"며 "업체들 입장에서 부담이 줄어들겠지만 정부 지원이 너무 많으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초정밀 금속가공업체인 정진은 2017년 스마트공장 도입을 추진한 뒤 수출 물량이 극대화됐다고 밝혔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강명연 기자 unsaid@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