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공공기관 지속지수)“기업자체-사회적기여, 조화정도에 조사 초점”
조사 주관한 안치용 한국CSR연구소 소장 인터뷰
2018-11-01 06:00:00 2018-11-02 16:44:43
[뉴스토마토 권대경 기자]"공공기관이 기업 자체로서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기여하는 두 가지 측면이 얼마나 조화를 이뤘느냐에 초점을 맞췄다." 
 
안치용 한국CSR연구소 소장은 31일 <뉴스토마토>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공공기관 평가의 핵심 기조를 이 같이 설명했다. 안 소장은 우선 "공공기관은 시장과 공공영역이 합쳐진 기업형태로 순수 영리기업이 시장에서 하는 역할과 달리 더 높은 공공성을 요구받는다"며 "전반적으로 공공성을 중심으로 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게 이번 조사의 취지"라고 강조했다. 사회전반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 공기업이 공공 영역에서 어느 정도 호응했느냐가 공기업의 지속가능성 평가 내용이라는 설명이다. 
 
안치용 한국CSR연구소 소장
 
기본 지표를 두고 안 소장은 경제·사회·환경의 세 영역을 중심으로 봤다고 소개했다. 안 소장은 "공공기관은 기업의 사회에 대한 공공성 관여가 더 핵심적 이슈"라며 "공공성 관리지표는 기획재정부의 공기업 경영평가 등을 비롯한 공공영역에서 수행한 다양한 평가를 참고해 측정했다"고 말했다. 
 
기재부 평가를 준용한 이유에 대해선 공공사업 사업성 성과를 두고 이견이 존재할 수 있는 만큼 현실적으로 가장 객관적이라 할 수 있는 기재부 내용을 근거로 할 필요가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기재부 평가를 두고서도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른 시각을 가질 수 있지만, 국민적 합의에 의해 선출된 정부가 공공정책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평가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를 기초로 했다는 얘기다.  
 
공공기관 분류에 따라 우선 공기업Ⅰ(시장형)의 경우 기업 규모가 크고 시장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탓에 비교적 평가가 수월했다는 평가다. 안 소장은 "공시자료가 많고 시장기업과 경쟁하기 때문"이라며 "시장기업들의 지속가능경영정책을  공공기관들도 동시에 펼치고 있어 이번 내용은 충실하다고 볼 수 있다"고 자신했다. 안 소장은 환경 부문 평가에 대해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개개별 기업들이 측정하고 지표를 환경부에 넘기는데 이를 바탕으로 해 비교적 적절한 평가가 됐다"며 "다만 시장형 공기업을 제외한 나머지는 환경 부문 평가 자료를 구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고 토로했다. 
 
시장형 공기업 외에 공기업Ⅱ(준시장형), 준정부기관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강소형은 환경경영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지적이다. 다만 강한 공공성을 띄고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민연금관리공단과 같은 기금형 공공기관은 평가 잣대가 너무도 다양해 이번 평가에서는 제외했다.
 
권대경 기자 kwon213@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