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돈 줄 마른다…건설업계 "유동성 부족, 악순환 반복 우려"
대출금리는 인상, 건설사 신용등급은 하향 전망
2016-01-07 14:19:05 2016-01-07 14:19:08
[뉴스토마토 최승근 기자] 건설업계가 연초부터 자금확보 방안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정부의 '돈 줄 죄기' 정책으로 시중에서 유동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데다 미국금리 인상 여파로가 국내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국제 유가 하락으로 해외수주 텃밭인 중동국가의 자금난이 심화되는 점도 건설업계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달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7년 동안 유지해온 제로금리 시대에 종지부를 찍었다. 올해의 경우 중국발 쇼크가 변수이긴 하지만 금융시장에서는 연준이 올 한해동안 기준금리를 1%포인트가량 더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미국에 이어 국내 기준금리도 인상될 경우 시중은행에 대한 자금 의존도가 높은 건설사들로서는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기존 대출에 대한 이자부담이 커지는 것은 물론 신규 대출에 대한 부담도 불 보듯 뻔한 일이다.
 
이미 시중은행들은 기업에 대한 대출금리를 인상하는 등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15개 시중은행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올 1분기 국내은행의 대출태도지수는 -15로 집계됐다. 대출태도지수가 마이너스라는 뜻은 대출을 강화하겠다고 응답한 곳이 많다는 의미다. 이는 지난 2008년 4분기 -23을 기록한 이후 최저 수준이다.
 
특히, 한국은행은 1분기 중 대기업에 대한 대출 강화기조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올 상반기 건설업 구조조정이 대기업에 집중될 것이란 정부와 금융당국의 발표와도 일맥상통하는 대목이다.
 
대형 건설사의 경우 규모가 큰 공사가 많아 필요한 자금 규모도 중소건설사에 비해 큰 편이다. 특히, 해외수주의 경우 발주처들이 자금난을 겪으면서 공사대금의 대부분을 완공 시에 지급하는 헤비테일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자금난에 대한 우려가 클 수 밖에 없다.
 
헤비테일 방식으로 공사를 진행할 경우 초기에는 건설사가 공사비를 자체 조달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 기존 시장이 아닌 새롭게 개척한 시장일 경우는 자금지출이 더 늘게 된다. 건설장비를 비롯해 자재들을 해당 국가로 옮기면서 추가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중동지역을 탈피해 중앙아시아, 중남미 등으로 해외시장 다변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건설사들로서는 부담이 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수주를 해놓고는 정작 자금 때문에 원활하게 공사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이와 함께 지난해 해외수주로 인한 손실 등으로 신용등급이 낮아진 건설사들이 많은 점도 자금 압박 우려를 더하고 있다. 신용등급이 하락될 경우 대출 시 금리가 더 인상되기 때문에 이자부담이 늘게 된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포스코건설, GS건설(006360), SK건설, 한화건설, 삼성엔지니어링(028050) 등 총 11개 건설사의 장단기 신용등급이 하락했다. 전체 업종 중에서는 건설업종 비중이 가장 컸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올해 종합건설, 해외건설, 조선, 철강, 전력, 해상운송, 항공운송, 호텔, 은행, 여신전문금융, 증권, 신용카드 등 12개 산업의 신용등급 방향성을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사금융 시장도 쉽지 않다. 지난해 말 대부업 최고 금리를 제한하는 대부업법의 일몰로 기존 법정 최고 금리(34.9%) 보다 금리가 더 오를 가능성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까지 직접적인 여파는 없지만 원활한 유동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대책을 모색하고 있다"면서도 "대출금리 인상이 유동성 부족과 수익성 악화 등 악순환으로 흐를 우려가 있어 고민이 많다"고 말했다.
 
정부의 ‘돈 줄 죄기’ 정책으로 시중에서 유동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진 건설업계가 자금확보 방안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3일 오후 서울의 아파트 단지의 모습. 사진/뉴시스.
  
최승근 기자 painap@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