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기자의 '눈')'쌍용차 문제' 쌍용차만의 일이 아니다
2021-06-02 06:00:00 2021-06-02 06:00:00
쌍용차 매각을 두고 2000명 규모의 인력 감축설이 돌고 있다. 쌍용차의 조기 경영 정상화를 위해서는 구조조정이 필수라는 얘기도 들린다. 노조는 완전고용을 요구하면서 3박4일 도보행진을 비롯해 국회에 탄원서까지 내면서 국민과 정부에 일자리를 지켜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쌍용차 만큼은 아니지만 다른 업체도 비슷하다. 노조의 고용안정 대책 요구는 현대차와 기아를 비롯해 르노삼성, 한국지엠 등 자동차업계 전반에 확산되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 내부에서는 해외투자로 인한 국내 투자 감소, 한국지엠과 르노삼성은 국내 물류센터와 영업점 축소에 대한 반발이 일어나고 있다. 이는 결국 고용 불안감에 따른 행동으로 해석된다.
 
최근 자동차 시장은 급변하고 있다. 자율주행차 시장이 개화하고 있으며 공장에는 지능형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여기에 전기차는 이같은 변화의 흐름을 재촉하고 있다. 부품이 줄면서 최소 인력이 필요한 생산 공정마저 점차 자동화되는 추세다.
 
역사적으로 기술의 발달은 사라지는 직업군을 만들고 반대로 새로운 직업도 창출했다. 3000년전 고대 빗살무늬토기 장인이 있다면 이후 청동, 철, 놋그릇 장인이 등장했다. 활을 만드는 직군이 있었다면 총을 만드는 직군이 생겼다. 마차 이후에는 자동차가 등장하며 운전업종이 확대됐다. 모두 기술 중심의 혁신이었다. 기술은 항상 '사람' 중심으로 진보해왔다.
 
하지만 작금의 기술적 진보에는 사람이 없다. 대장간은 공장이 됐으나 최소 인력을 필요로 한다. 컨베이어벨트는 자동화되고 도로 위 자동차 바퀴는 저절로 움직인다. 좀 더 미래를 본다면 택시기사, 화물차 등 운전직군은 자율주행 도입에 점차 쓸려나갈 처지다.
 
실례로 몇 년 전 카풀 등 공유서비스를 두고 벌어지는 택시업계와 카카오의 마찰만 봐도 남은 밥그릇은 이미 정해졌다. 공유서비스는 자율주행으로 가는 전초단계다. 추후 자율주행차가 도로 위를 점령하면 '기사'란 직업은 사라지게 될지도 모른다. 이미 자율주행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2025년 상용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결국 자동화로 점철된 기술의 발달은 일자리를 줄여나가고 있다. 기업의 움직임 역시 일자리보다 수익성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따라서 정부가 나설 때란 의견이 제시되는 이유다. 첨단 기술력 발달과 일자리가 반비례 관계라면 줄어든 일자리에 대한 복지정책도 절실하다. 정부가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일자리 감소에 당당히 직면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가까운 미래를 보지 말고 멀리 봐야한다. 결국 자동화로 소멸될 일자리 창출은 허울뿐이다.
 
다른 일자리를 찾으면 된다는 생각은 '어불성설'이라는 생각이다. 자동화와 AI가 본격 도입되는 시점에서 일자리 감소는 필연적이다. 1000명, 1만명, 10만명을 넘어 1000만명의 사람이 하던 일을 자동화 시스템이 수행하는 때가 오면 이미 늦는다. 따라서 기본 소득, 로봇세 도입 등도 점진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이는 어떤 산업군이나 마찬가지다. 특히 그간 한분야 기술자로 살아왔던 중장년층에게 "당장 이곳은 사람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새로운 일을 배우세요"하는 권유가 대책이라면 틀렸다. 어떤이는 "100년 뒤에나 올법한 공상 과학 소설을 쓰지마세요"라고 지적할 수 있겠다. 알면서도 말한 이유는 결국 '사람이 먼저다'란 얘기다.
 
조재훈 기자 cjh1251@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