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소유 은행만 자본확충펀드 신청
2009-01-08 09:13:00 2009-01-08 11:13:43
[뉴스토마토 서주연기자] 정부가 이달 중순부터 가동할 예정인 은행권 자본확충펀드에 우리은행 등 일부 정부소유 은행만 신청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대형 시중은행의 기피로 당초 일반 시중은행에 자금을 공급한 뒤 기업 지원과 구조조정에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정부의 구도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8
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과 광주은행, 경남은행 등 정부가 대주주인 우리금융소속 자회사들은 작년 말 국제결제은행(BIS) 기본자기자본비율이 9% 미만으로 자본확충펀드의 지원을 받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우리은행은 2조 원 규모의 하이브리드채권을 발행해 자본확충펀드에 넘기는 방식으로 작년 말 기준 7%대 중반으로 추정되는 BIS 비율을 9%대로 높일 방침이다.

광주은행과 경남은행도 연말 BIS 비율 추정치가 각각 7.4%, 7.8%로 자본확충펀드의 지원을 받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의 직접 지원을 받을 수 없는 농협과 수협도 자본확충펀드의 지원을 신청할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꼽히고 있다.
 
5개 은행이 모두 BIS 비율 권고치 9%를 맞추기 위해 자본확충을 신청할 경우 지원규모가 5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달 초 13개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에 올해 초까지 BIS 비율 9% 달성을 위해 11조원 정도 자본을 확충하라고 권고했었다.

작년 11월과 12월 두 달 동안 이들 은행은 증자와 신종자본증권 발행 등을 통해 58천억 원 규모로 기본자본을 확충했다. 아울러 환율 하락과 주가 상승으로 은행들의 BIS 비율이 다소 개선돼 자본확충 신청 은행이 정부의 당초 예상보다 줄어들 전망이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작년 말 BIS 비율 추정치가 각각 9%, 국민은행은 9% 후반대로 모두 당장 펀드의 지원을 받을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미국계 사모펀드인 론스타가 대주주로 있는 외환은행은 BIS 비율 추정치가 8% 중반으로 예상되나 지원을 신청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외국계 은행인 SC제일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은 BIS 비율이 9%를 상회해 지원신청을 할 필요가 없다.

대구은행, 부산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등 우리금융지주 소속 은행을 제외한 4개 지방은행은 BIS 비율이 9%에 미달하나 연초 대주주 증자와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통해 자체적으로 기본자본을 확충할 방침이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은 정부가 직접 출자해 자본을 확충해주기 때문에 펀드의 지원이 불필요하다.

뉴스토마토 서주연 기자 shriver@etomato.com


- Copyrights ⓒ 뉴스토마토 (www.newstomato.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