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덤핑 둘러싼 중국-유럽 기싸움..태양광 업계 '골머리'
2013-04-23 17:10:11 2013-04-23 17:12:57
[뉴스토마토 최승환기자] 태양광 업계가 중국 상무부의 폴리실리콘 반덤핑 논란에 이어 유럽의 중국산 태양광 제품 반덤핑까지 겹치면서 골머리를 안고 있다.
 
중국은 태양광 셀·모듈 제품의 전세계 최대 공급 국가이며, 유럽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단일 설치시장이다. 미국과 일본이 최근 부상하고 있지만 여전히 태양광은 중국과 유럽을 축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처럼 태양광 시장을 움직이는 두 기둥이 자국 보호주의와 자존심 싸움에 서로 반덤핑 관세를 부과할 경우, 살아날 기미를 보이고 있는 태양광 시장이 다시 침체기에 접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업계에 따르면 유럽은 이르면 5월말, 늦어도 6월초에 반덤핑 예비판정을 내릴 예정이다. 중국도 판정을 계속 지연하면서 6월로 연기했다. 유럽의 판정 수위를 보고 맞춤형으로 대응하겠다는 중국의 수싸움이 내재된 결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중국이나 유럽이 반덤핑 판정을 내리는 것은 기정사실로 보고 있다. 다만 그 후폭풍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중국에서 수입하는 폴리실리콘 가격에 관세가 붙으면 중국에서 생산하는 셀·모듈 가격이 올라가고, 여기에 유럽으로 수출하는 태양광 제품에 관세까지 더해질 경우 OCI 등 해당업체의 타격은 불가피하게 된다.
 
그렇지 않아도 업황 침체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가격마저 오를 경우 수요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 우려다. 전문가들은 직접적 타격이 가해질 개별기업과 함께 관세 부과율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있다. 20%선을 넘어 50%까지 치솟을 경우 태양광 시장 자체가 죽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학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10~20% 정도의 관세가 매겨지면 태양광 시장에 타격은 크지 않을 것"이지만 "만약 50% 이상을 부과하게 된다면 시장에서는 경제성 자체가 사라진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태양광 시장을 키워도 모자랄 판국에 서로 자존심 싸움 때문에 시장의 불확실성만 커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반면 일각에서는 반덤핑 부과가 과도하게 이뤄질 경우 단기적으로는 태양광 시장이 침체를 겪겠지만, 중국 기업들의 옥석 가리기가 진행되는 등 업계 구조조정이 활발해지면서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이라는 견해도 내비쳤다.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관세가 높게 매겨지면 중국은 생산하는 물량을 모두 자국에서 소화해야 하는데 그럴 여력은 없다. 유럽이 아닌 미국과 일본 등으로 눈을 돌릴 수 있지만 지난해 전세계 태양광 시장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1%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결국 저가 물량 공세를 퍼부었던 중국 태양광 기업들의 구조조정이 자연스레 이뤄질 수 있다는 얘기다. 이 경우 태양광 업계 질서는 전혀 새로운 구도로 재편될 수 있다. 
 
박기용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극단적일 수 있으나 중국 기업들이 어려워지면 공급과잉에 시름하고 있는 태양광 시장에서 제대로 된 업체가 아니고는 살아남기 힘들 것"이라며 "살아남은 기업들은 가동률도 올라가고, 기술개발에도 투자할 수 있어 태양광 시장에서 장기적으로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중국과 유럽이 자국의 보호무역주의에 갇혀 전세계 태양광 시장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가 현재로선 대다수였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은 전세계 태양광 제품 최대 공급자고, 유럽은 세계 최대의 단일 설치 시장"이라며 "태양광 시장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양측의 자존심 싸움 때문에 업계가 침체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이라고 말했다.
 
◇태양광 발전 기초소재인 폴리실리콘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