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 빵집 中企 적합업종 선정..'현실화' 될까
대형유통업체 직영점 논의 제외로 형평성 지적도
2012-12-22 11:53:57 2012-12-22 14:40:58
[뉴스토마토 박수연기자] 올해 중 제과업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향후 프랜차이즈 빵집의 신규출점에 제동이 걸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동반성장위원회는 오는 27일 본회의를 열고 제과업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 여부를 최종 검토, 발표할 예정이다. 지난 21일에는 대기업 프랜차이즈와 대한제과협회간 조정안 협상안이 결렬된 바 있다.
 
업계는 동반위가 대기업 프랜차이즈 빵집의 신점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 경우 파리바게뜨와 뚜레쥬르를 각각 운영하는 SPC, CJ푸드빌의 사업확장에 상당한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SPC 관계자는 "프랜차이즈 업계는 이미 공정위에서 지정한 모범거래기준을 통해 확장 제한을 받으며 동반상생노력하고 있는 상태"라며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될 경우 경쟁력 있는 우수 프랜차이즈 창업자의 재산권이 침해받을 것"이라며 반발했다.
 
반면, 대한제과협회 관계자는 "2000년 1만8000여개였던 동네 빵집이 현재 4000개로 급감하는 등 프랜차이즈의 불공정거래로 인한 피해가 막대하다"고 제과업의 적합업종 선정을 강력히 요구했다.
 
한편 대형마트나 기업형슈퍼마켓 등 대형유통업체가 운영하는 빵집은 출점제한에서 제외돼 업계의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유통업계가 운영하는 빵집 수는 전국 900여곳에 달한다.
 
이에 대해 동반위 관계자는 "유통대기업의 직영 빵집은 제과협회의 적합업종 신청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논의에서 제외했다"고 해명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