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굴릴 데 없는 은행 '대출 의욕' 9년來 최고'
한은 대출태도지수 조사결과.."가계·중소기업 대출 늘고 신용위험 커질 것"
2011-04-06 12:00:00 2011-04-06 16:15:34
[뉴스토마토 이은혜기자] 국내은행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대출태도지수가 9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편 가계와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은 원자재가격 상승과 대출금리 상승에 따라 신용위험이 크게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은행들의 과다경쟁이 카드대란 직전 대출자산 확대 경쟁이 이뤄지던 시기와 비슷한 모습이라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2분기 대출태도지수는 21로 1분기 15보다 상승하며, 지난 2002년 1분기 22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출태도지수는 0을 기준으로 +100에 가까울수록 대출을 완화하겠다고 응답한 금융기관수가 많음을, -100에 가까울수록 대출을 강화하겠다고 응답한 금융기관이 많음을 의미한다.
 
분야별로는 중소기업대출태도지수가 1분기 22에서 28로 올랐고, 대기업은 9에서 13으로 높아졌다. 가계일반은 6에서 19으로 올랐고, 가계주택은 6에서 9로 소폭 상승했다.
 
은행들은 "대내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외형확대를 위해 우량업체를 중심으로 대출취급조건을 상당폭 완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가계 일반자금에 대해서는 은행간 소매금융 확대경쟁이 심화되면서 대출태도가 크게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고, 주택자금도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환원에도 불구하고 완화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신용위험은 중소기업과 가계를 중심으로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전체 신용위험지수는 1분기 6에서 2분기 16으로 높아졌다. 특히 가계가 9에서 22로 큰 폭 올랐다. 중소기업은 6에서 16으로 증가했다. 대기업은 -3에서 0으로 바뀌어 기준치를 기록했다.
 
은행들은 "가계대출금리가 상승하고 있어 가계의 신용위험은 한계차주를 중심으로 채무상환능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고 평가했다.
 
신형욱 한은 금융안정분석국 부국장은 "신용위험증가에도 은행들이 대출태도를 완화하는 것은 이례적인 현상으로 시장점유율 높이기 경쟁이 심화되면서 나름의 신용보증 수단을 갖춰놓고 대출을 개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대출 수요에 대한 전망은 1분기보다 소폭 낮아졌으나 중소기업과 가계일반은 높아졌다.
 
종합 대출수요지수는 전분기 20에서 19로 줄었다. 가계주택이 16에서 0으로 큰 폭 떨어졌고 대기업은 9에서 6으로 낮아졌다. 반면 중소기업은 28에서 31로, 가계일반은 3에서 13으로 높아졌다.
 
은행들은 중소기업의 경우 원자재 가격 상승세 지속 등 불확실한 영업환경에 대비한 여유자금 확보 목적의 자금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가계일반자금의 경우 최근 물가상승세 확대로 가계구매력이 제약되면서 생계형자금을 중심으로 대출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결과는 한국은행이 국내 16개 금융기관의 여신업무 총괄담당 책임자를 대상으로한  면담조사를 통해 이뤄졌다.
 
 
뉴스토마토 이은혜 기자 ehlee@etomato.com

- Copyrights ⓒ 뉴스토마토 (www.newstomato.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