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동 땅 속에서 세종 때 '한글 금속활자' 무더기 발굴
문화재청, 탑골공원 인근 발굴조사 진행
물시계 부속품, 화포인 총통 등도 출토
15세기 '동국정운식 표기법' 쓴 금속활자 실물 확인
2021-06-29 10:42:26 2021-06-29 10:42:26
[뉴스토마토 염재인 기자]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서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표기가 반영된 한글 금속활자와 조선 전기에 제작된 금속활자 1600여점이 발굴됐다.
 
문화재청과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수도문물연구원은 탑골공원 인근 '공평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인 인사동 79번지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해 조선 전기 금속활자 1600여 점을 비롯해 물시계 부속품 주전, 일성정시의, 화포인 총통 8점, 동종을 찾아냈다고 29일 밝혔다. 유물이 출토된 지역은 현재 종로2가 사거리의 북서쪽으로 조선 한양도성 중심부다. 
 
이는 훈민정음 창제 시기인 15세기에 한정돼 사용되던 동국정운식 표기법을 쓴 금속활자가 실물로 확인된 것이다. 
 
당초 임진왜란 이전에 제작한 조선시대 금속활자는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한글 활자 약 30점만 현존한다고 알려졌으나 서지학계가 고대하던 조선 전기 활자가 무더기로 나온 것이다. 중앙박물관 활자는 1455년 무렵 제작됐다.
 
아울러 기록으로만 전하던 조선 전기 과학유산인 천문시계 '일성정시의' 부품과 '자격루'와 같은 물시계 부속품 '주전'의 일부로 보이는 동제품도 발굴됐다. 세종 시대 과학유산 흔적이 대규모로 발굴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금속활자와 주전으로 추정되는 동제품은 도기 항아리에 담긴 채 모습을 드러냈다. 주변에서 상대적으로 큰 일성정시의·총통·동종이 여러 조각으로 나뉜 상태로 출토됐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큰 관심을 끄는 유물은 금속활자다. 한자 활자 1000여점과 한글 활자 600여점이 나왔다. 조선 전기의 다양한 금속활자가 한곳에서 발견된 첫 사례다. 구텐베르크가 1440년대 서양 최초로 금속활자와 인쇄술을 개발할 무렵 제작한 것으로 판단되는 유물이 포함됐다.
 
조선시대 금속활자는 제작한 해의 육십갑자를 이름으로 붙이는데, 1434년 제작했다는 갑인자(甲寅字)를 비롯해 1455년에 만든 을해자(乙亥字), 1465년 활자인 을유자(乙酉字)로 보이는 유물이 확인됐다.
 
또 한글 금속활자 중에는 훈민정음 창제 시기인 15세기에 한정적으로 사용된 '동국정운식 표기법'을 쓴 활자와 한문 사이에 쓰는 한글 토씨인 '이며'나 '이고'를 편의상 한 번에 주조한 이른바 '연주활자' 10여점도 있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다양한 크기의 한글 금속활자가 출토됐다"며 "아직 금속활자 분석이 끝나지 않았는데, 종류가 다양해 인쇄본을 찍을 때 사용한 조선 전기 활자의 실물이 추가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크기와 뒷면을 깎은 모양새를 보면 활자가 각양각색"이라며 "활자 상태는 대부분 온전하지만, 일부는 불에 녹아 엉겨 붙어 있었다"고 덧붙였다.
 
서울 인사동에서 발굴된 조선 전기 한글 금속활자. 사진/문화재정
 
염재인 기자 yji@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