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ESS 화재 절반 이상은 대기중 발생…관리부실 지적
원인조사위, 사고 원인 조사 공개…전국 각지서 총 23건 발생
2019-06-11 11:54:42 2019-06-11 11:54:48
[뉴스토마토 이진성 기자] 최근 연이어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 23건 중 14건은 충전 완료 후 대기(휴지) 중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방전 과정과 설치·시공 중에 발생한 건수도 각각 6건, 3건에 달했다. 사실상 관리부실에 의해 발생했다는 것으로 해당 업체들의 핵심소재 논란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이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민관합동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가 실시한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러한 내용의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조사위)'가 실시한 ESS 화재 사고 원인 조사 결과를 11일 공개했다. ESS 화재 사고는 2017년 8월 전북 고창군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경북, 전남, 경남, 충북, 충남, 경기, 강원 등 전국 각지에서 총 23건 발생했다. 
 
분석 결과 전체 23건의 사고 중 14건은 충전 완료 후 대기(휴지) 중에 발생했고, 6건은 충·방전 과정, 3건은 설치·시공 중에 났다. 사고원인으로는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 4가지 요인으로 확인됐다. 일부 배터리 셀에서 제조상 결함을 발견햇지만, 이러한 결함을 모사한 실증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진 않았다. 조사위 관계자는 "제조결함이 있는 배터리가 가혹한 조건에서 장기간 사용되면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용도별로 보면 태양광·풍력 연계용 17건, 수요관리용 4건, 주파수 조정용 2건 등이었고, 설치 위치 별로는 산지 14건, 해안가 4건, 기타 공장 등 5건이었다. 건물 형태 별로는 조립식 패널 15건과 컨테이너 4건, 콘크리트 4건이었고, 운영 기간 별로는 1년 이하 16건, 1~2년 3건, 2년 이상 4건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화재원인을 토대로 ESS용 대용량 배터리 및 전력변환장치(PCS)를 안전관리 의무대상으로 담은 한국산업표준(KS)인증 강화와 KS표준 제정, 배터리시스템 보호장치 성능사항 및 ESS 통합관리 기준 등을 단체표준에 추가하는 대책 등을 추진한다.  옥내설치의 경우 용량을 총 600kWh로 제한하고, 옥외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별도 전용건물 내 설치토록 규정해 안전성을 제고하는 대책도 마련한다. 아울러 이상징후(과전압·과전류, 누전, 온도상승 등)가 탐지될 경우 관리자에게 통보하고, 비상정지되는 시스템을 갖추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사고에도 불구 정부는 미래 신산업으로 ESS 산업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이번 화재사태로 위축된 성장활력 회복이 필요하다고 보고, 단기 인센티브 및 향후 유망분야에서 새로운 수요 창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는 해외에서도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가정용 ESS 등 신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개발·적용을 지원할 계획"이라며 "이번 화재사태를 계기로, ESS의 안전성을 세계 최고수준으로 끌어올려 지속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종=이진성 기자 jinlee@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