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용산공원, 부산시민공원 실수 되풀이말아야”
“조급한 결과물, 시민 참여 한계…밋밋한 공원 그쳐”
2021-02-04 17:45:54 2021-02-04 17:45:54
[뉴스토마토 박용준 기자] 미군기지 철수 이후 국가공원으로 조성하는 용산공원이 앞서 미군기지부지 공원화 과정을 밟은 부산시민공원의 실수를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울시의회는 4일 ‘온전한 용산공원 어떻게 조성할까’ 온라인 토론회를 개최했다.
 
발제를 맡은 강동진 경성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부산시민공원 사례와 시사점’을 주제로 캠프 하야리야 이전 이후 부산시민공원 조성과정을 소개했다.
 
부산시민공원이 위치한 부지적 특성 역시 용산공원과 유사하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지나며 100여년간 시민 출입이 통제됐으며, 용산과 마찬가지로 각각 서울과 부산의 중심부에 해당한다.
 
부산시민공원은 오래된 시민운동과 공론화, 지방 최초의 라운드 테이블을 통한 시민·전문가 의견 수렴, 높은 수준의 거버넌스 운영 등은 장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부산시민공원 조성과정에 참여했던 강 교수는 “부지 잠재력에 비해 역사성·장소성을 살리지 못했다”, “특별한 공원이 되길 바랬으나 밋밋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강 교수가 꼽은 부산시민공원 조성과정의 문제점은 조급한 조성기간, 오염정화 문제, 운영관리주체 시민 배제, 주변 도시계획 연계 미흡 등이다. 
 
당시 미군이 철수하기도 전에 내부는 들어가지도 못한 채 마스터플랜이 설립됐다. 52만㎡ 부지 공사가 2년여만에 진행돼 공원 특징을 살리지 못했다는 평가다.
 
또 부지 오염정화문제가 뒤늦게 제기되면서 자연치유나 리모델링 방안이 제외된 채 역사성과 장소성을 갖고 있는 흔적들을 대부분 살리지 못하고 통째로 정화작업이 이뤄졌다. 
 
시민운동이 상당수준이었음에도 정작 조성 후 운영관리주체는 시민이 아닌 부산시설관리공단에 넘어갔다. 주변부에 들어서는 초고층아파트도 사유화 논란을 가져오며 아쉬움으로 남는다.
 
강 교수는 “부산시민공원도 더 보완되고 시민 중심의 활성화가 되길 바라고 있다”며 “용산공원은 이런 전철을 밟지 말고 제도적인 한계를 뛰어넘어 용산공원만이 가질 수 있는 것을 이루기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주백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추진위원은 “용산공원의 진행과정은 역사성과 장소성에 소흘한 것 아닌가 생각한다. 고층빌딩이 용산공원 주변에 먼저 들어서는 현상인데 막아내기 위해 어떻게 노력할 것인가. 뉴욕 센트럴파크를 용산공원의 유일한 모델처럼 보지 말고 우리의 모델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은희 용산미군기지온전히되찾기 대표는 “먼저 용산미군기지의 온전한 반환 후 오염책임을 미국에게 물어야 한다”며 “잔류부지 문제도 시민 참여 속에서 대사관·드래곤힐호텔·헬기장 등을 반환하도록 협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세희 국토부 용산공원추진단 과장은 “부산시민공원 사례를 경청하고 반면교사로 삼아 용산공원관리센터를 어떤 조직으로 설립하고 운영할지 검토하겠다”며 “올해 전체 조성부지의 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며 주변부 난개발이 이뤄지지 않도록 서울시와 협력해 주변지역 관리방안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엄진희 역사문화해설사가 작년 11월10일 서울 용산공원 부분개방 부지(옛 미군장교 숙소 5단지)를 찾은 시민에게 주요 시설과 공간에 대한 역사와 문화 배경 해설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박용준 기자 yjunsay@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