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상수지는 990억4000만 달러로 한국은행 전망치인 900억 달러를 웃돌며 역대 2위 기록을 갈아치웠다. 더불어 지난해 12월 경상수지도 123억7000만 달러로 12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6일 부산 남구 신선대(사진 아래) 및 감만(위) 부두 야적장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차철우 기자]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6일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로 유지했습니다. 한국의 신용 등급 전망도 '안정적'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는데요.
피치는 최근 비상 계엄 사태와 윤석열씨 탄핵 소추 여파로 국내 정치와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졌지만 우리나라 국가 신용등급을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2년 9월 국가 신용등급이 'A+'에서 'AA-'로 샹향 조정된 뒤 약 13년째 같은 등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피치는 "이번 결정이 견고한 대외건전성, 안정적인 거시경제 성과 및 수출 부문의 역동성과 함께, 지정학적 리스크, 고령화에 따른 구조적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결과"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한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앞으로 수 개월간 지속할 수 있다고 보지만, 우리 경제와 국가 시스템에 실질적인 영향은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정치적 교착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정책 결정의 효율성, 경제 성과, 재정 건전성 등이 악화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12·3 내란사태 이후 국가신용등급 강등 우려가 실제로 이어지지 않았지만, 탄핵 정국이 길어지는 게 주요 변수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피치는 향후 신용등급 조정 하방요인으로 △경제·재정 정책 효과성 훼손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의 현저한 상승 △한국 경제를 심각하게 약화시킬 정도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지목했습니다.
재정의 경우, 지속적인 재정수입 회복 및 지출 통제 노력에 따라 '24년'(GDP 대비 △1.7%)에 비해 '25년'에는 재정수지가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올해 정치 상황에 따라 향후 재정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졌고, 고령화 지출 등으로 정부부채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경우 신용등급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표했습니다.
차철우 기자 chamato@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