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글로벌 국방예산 '2조달러 시대' 열려…"'K-방산' 도전적 전략 필요"
향후 10년 무기획득예산 6000억달러 증액 전망
올해 'FA-50 경공격기' 등 수주…폴란드 추가계약 기대
"방산수출 거점 확대하고 수출 주력제품 발굴해야"
2023-03-27 11:00:00 2023-03-27 17:34:28
 
 
[뉴스토마토 김지영 기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를 맞은 가운데 신냉전에 따른 '글로벌 방산 골드러시 시대'가 전망되고 있습니다. 특히 향후 10년 내 전세계 국방 예산이 우리나라 돈으로 3246조원 규모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우리나라도 'K-방산' 수출 거점 국가를 늘리고 신규 주력 제품을 발굴하는 등 시장 진출을 위한 도전적 전략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27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글로벌 방산시장의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23~2032년 간 글로벌 국방예산은 기존 전망치보다 누적 기준으로 2조달러(한화 약 2600조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 무기획득예산은 6000억달러(780조원)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지난해 2월 발발한 러·우전쟁 장기화 추세에 따라 글로벌 방산시장은 크게 성장 중입니다. 우크라이나와 인접한 동·북유럽은 물론 북미, 아시아·태평양, 중동에 이르기까지 국방 예산을 증액하는 추세입니다.
 
항공·방산전문매체 에이비에이션 위크(Aviation Week)에 따르면 올해 세계 국방 예산은 지난해 2조달러 규모에서 약 10% 증액된 2조2000억달러로 추정됐습니다. 전쟁 장기화 시 2032년에는 국방 예산이 2조5000억달러에 이를 것이란 전망입니다.
 
올해 무기획득예산도 지난해 6000억달러 초반대보다 많은 6800억달러로 관측됩니다. 국방 예산의 대부분이 무기획득에 쓰이면서 2032년에는 7500억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27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글로벌 방산시장의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23~2032년 간 글로벌 국방예산은 기존 전망치보다 2조달러(한화 약 2600조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사진은 훈련 중인 K9 자주포. (사진=뉴시스)
 
무기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충족시켜줄 국가는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등 소수에 불과합니다. 
 
이 중 기존 무기 수출국은 재고 부족과 자국 전력공백의 보충 수요 탓에 수요를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튀르키예 등 신흥국의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대목입니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173억달러 방산 수주액을 기록하는 등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올해도 FA-50 경공격기(말레이시아·1조2000억원)와 K-2 전차 엔진(튀르키예·3000억원), 탄약류, 소총류 등을 이미 수주한 상황입니다. 향후 폴란드와의 K-2 전차, K-9 자주포, 천무에 대한 300억~350억달러 규모 2, 3차 이행계약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글로벌 4대 방산강국'의 진입을 위해서는 더욱 적극적인 시장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특히 미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 그동안 확보한 15개국을 중심으로 방산수출 거점을 확대하고 기존 K-2 전차, K-9 자주포 외 새로운 수출 주력 제품을 발굴해야 한다는 제언입니다.
 
러·우전쟁으로 기존 방산 수출 강국인 러시아와 중국의 무기시장점유율이 줄어들고 있는 점도 기회 요인입니다.
 
우방국과의 방산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고 리스크 대응체계도 조기 구축해야 한다는 게 산업연 측의 설명입니다.
 
장원준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 연구위원은 "정부가 추진하는 2027년까지'글로벌 방산수출 4대 강국' 진입을 위해서는 향후 수년간 '글로벌 방산 골드러시 시대'의 수혜를 극대화하기 위한 보다 도전적이고 적극적인 시장진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27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글로벌 방산시장의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23~2032년 간 글로벌 국방예산은 기존 전망치보다 2조달러(한화 약 2600조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사진은 우크라이나 병사가 러시아 국기를 짓밟는 모습. (사진=뉴시스)
 
세종=김지영 기자 wldud91422@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