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상반기 서울 아파트 전세, 4억원 미만 절반 그쳐
2011년 대비 37%포인트 감소…임차인 주거안정, 임대 물량이 관건
2020-08-10 15:36:40 2020-08-10 15:36:40
[뉴스토마토 김응열 기자] 상반기 서울 아파트의 전세 거래 중 4억원 이하 비중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세 가격이 꾸준히 오르면서 실수요자의 주거 부담이 커졌다.
 
10일 직방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상반기 중 4억원 이하의 전세거래 비중은 52.7%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53.5%를 차지했는데 0.8%포인트 줄었다. 
 
4억원 이하 전세 거래 비중은 2011년 이후 꾸준히 감소했다. 2011년 상반기에는 4억원 이하 거래가 89.7%를 차지했으나, 그 비중이 해마다 지속적으로 줄어들었다. 전세 가격이 꾸준히 오르고 있다는 의미다.
 
같은 돈으로 구할 수 있는 면적도 좁아졌다. 2011년에는 전세보증금 2억~4억원대에서 전용 86㎡ 전세를 구하는 게 가능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6억~9억원이 있어야 전용 94.3㎡를 구할 수 있었다. 전세가격 2억원 이하는 2011년 평균 전용 62㎡에서 2016년 50㎡, 올해 상반기 43㎡로 거래 면적이 줄었다. 
 
같은 가격으로 구할 수 있는 아파트의 준공연한도 올라갔다. 9억원 초과 전세는 2011년 평균 준공연한이 5.2년이었다. 올해 상반기에는 15.1년으로 10년이 늘었다. 신축여부와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전세가격 수준이 높아졌다. 중저가 전세인 2억원 이하는 2011년 16.1년에서 올해 22년으로 5.9년 증가했고, 2억원 초과~4억원 이하는 13.2년에서 21.1년으로 7.9년 늘어났다. 
 
이 같은 분석에 따르면 최근 9년 반 동안 가격상승에 비해 거주 여건은 더 열악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2011~2016년까지 4억원 이하의 중저가 전세 아파트의 감소와 전용면적의 축소 등이 가파르게 진행된 반면 2017년 이후부터는 전세 아파트의 질적 저하 속도는 완만해진 모습이다. 이러한 현상은 청약에 나선 수요자들이 전세 시장에서 이탈하고 서울에 2017년~2019년 연평균 3만2000호 이상이 입주한 것이 원인으로 작용했다.
 
직방 관계자는 “8·4 공급 대책에 더해 임차인의 임대기간을 보장하고 임대료 부담을 줄이는 임대차 2법도 시행되면서 임차인의 주거 안정을 위한 공급과 제도적 장치는 마련됐다”라며 “임차인들이 실제 거주할 수 있도록 임대물량 유통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유통망에 관한 고민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서울시 내 아파트 모습. 사진/뉴시스
 
김응열 기자 sealjjan11@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