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이란, 8월부터 원유수출 중단…중국·인도가 관건
정유업계, 이달부터 이란산 콘덴세이트 선적 중단…미국, 제재 예외국 인정 촉각
2018-07-26 16:38:08 2018-07-26 16:38:08
[뉴스토마토 양지윤 기자] 내달 6일 미국의 대이란 제재 복원을 앞두고 이란산 원유의 최대 수요처인 중국과 인도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양국의 제재 참여 여부에 따라 국제유가는 물론 대이란 제재 예외국 인정을 추진 중인 한국 정부의 전략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국내 정유업계는 이달부터 석유화학제품의 기초원료를 뽑아내는 콘덴세이트의 선적을 중단하고 정부의 협상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에 따르면 관계부터 합동대표단은 미국의 이란핵합의 탈퇴에 따른 대이란 제재 복원으로 이란산 원유 수입을 전면 금지하는 것과 관련해 한국을 예외국으로 인정해달라고 요청했으나 의미있는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 19일 미국의 대이란 제재 복원 관련 한·미 제2차 협의를 개최했으나 아직까지 별다른 변화가 없다"며 "미국 측에 지속적으로 예외국 인정을 요청하고 있으나 한국의 사정을 검토해보겠다는 답변만 받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지난 3일(현지시간) 스위스 베른에서 열린 혁신 및 산업 포럼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그는 이날 미국이 이란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면 중동 전체의 원유수출이 위협받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진/뉴시스
 
정부 안팎에서는 중국과 인도의 행보가 관건이 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두 국가의 움직임에 따라 한국에 직간접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란은 하루 평균 380만배럴의 원유를 생산한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 중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에 이어 3위로 중국과 인도, 유럽, 일본, 한국 등이 주요 수입국이다. 이 가운데 중국과 인도, 유럽은 전체 원류 수입량의 75% 이상을 차지한다.
 
인도는 미국이 대이란 제재 예외국으로 인정하는 한편 중국은 미·중 무역분쟁 등을 겪고 있어 제재에 동참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인도의 경우 인접국인 중국, 파키스탄과 영토분쟁을 겪고 있어 이란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며 원유를 수입하고 있다. 중국 견제를 최우선 순위에 놓은 미국 입장에서는 향후 국제정세 변화까지 고려해 인도의 이란산 원유 수입을 허용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반면 중국은 미국과 무역분쟁이 환율 전쟁으로 확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만큼 이란산 원유 수입을 강행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정부와 국내 기업들은 중국과 인도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인도가 제재 예외국으로 인정 받으면 한국 역시 미국에 이를 요구할 명분이 생길 수 있어 한 가닥 희망을 거는 분위기다. 중국도 변수다. 인도가 이란산 원유 수입을 중단하지 않는 상황에서 중국이 제재에 동참하지 않게 되면 수급불안정이 예상만큼 크지 않을 수 있다. 그럼에도 국내 정유업계는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 중국 정유사들이 이란산 원유를 싸게 수입하면 국내 정유사보다 원가 경쟁력에서 우위를 보일 수 있어 마냥 안심할 수 없는 처지다. 특히 원유는 이란산 감소분을 공급선 다변화로 충당할 수 있지만, 콘덴세이트는 카타르와 호주 등 선택지가 좁아 업계의 고민이 크다. 현재 국내 정유사들은 이달부터 콘덴세이트 선적을 중단했고, 원유는 SK이노베이션과 현대오일뱅크만 소량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이란의 수출 제재가 이뤄지는 11월4일 전까지는 수입이 가능하지만 대금지급 통로 등이 막힐 수 있어 리스크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거래를 잠정적으로 중단했다"며 "이란산 콘덴세이트를 대체하기 위해 수입선을 바꾸거나 나프타(원유나 콘덴세이트에서 뽑아내는 석유화학 기초원료), 경질유의 투입을 늘리며 정부와 미국의 협상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지윤 기자 galileo@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