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358만㎡ 용산공원, 한국형 '센트럴파크'로
기존 시설물 활용해 역사와 문화, 자연이 어우러진 공원
국민참여 제도, 전문가 심층토론회 등 민간 주도 공론의 장 마련
2016-11-27 11:00:00 2016-11-27 11:00:00
[뉴스토마토 최승근기자] 용산공원이 역사와 문화, 자연이 어우러진 한국판 ‘센트럴 파크’로 조성된다. 정부는 국민참여 제도, 전문가 심층토론회 등 민간 주도 공론의 장을 마련해 용산공원 개발에 적극 반영 한다는 계획이다. 또 부지 내 건물 신축 대신 기존 건물을 최대한 활용하고 향후 남산과 용산공원을 연결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국토교통부와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는 지난 25일 공원조성계획 추진상황 설명회를 개최했다.
 
용산공원 조성사업은 내년 말부터 미8군이 평택으로 이전을 시작함에 따라 반환하는 전체 358만㎡ 규모의 용산기지 터를 국가공원으로 조성하는 사업이다.
 
국토부는 우선 용산공원조성특별법에 따라 수립된 종합기본계획에서 제시된 2027년 공원조성 완료 등의 추진일정을 최대한 유연하게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미군기지 평택이전이 완료되면 그동안 조사가 어려웠던 토양, 지하시설, 건물내부 등에 대한 세부조사를 추가로 실시해 조성계획을 보완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자연지형 회복과 역사유적 보존이라는 기본목표 하에 정확한 현장조사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미래 세대의 요구를 반영토록 확정적 설계안을 최대한 지양하고 있다"며 "현재 일정상의 2027년 조성완료 역시 완성이라는 의미보다는 공원의 기본적인 틀과 토대를 마련한다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내부의 내용물은 수 세대에 걸쳐 계속해서 채워나가는 끊임없이 진화하는 공원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공원 인근 주민과 일반 국민이 현장방문, 간담회, 설명회 등을 통해 공원 조성계획 수립과정에 적극 참여토록 하는 국민참여단을 온·오프라인을 통해 내년 상반기에 선발해 운영할 계획이다.
 
또 공식 심의기구인 용산공원조성추진위에 분야별 소위원회를 구성해 민족성·역사성·문화성이라는 용산공원특별법 상의 기본이념이 계획에 충실히 반영 되도록 추진할 방침이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4월 공청회를 통해 부지 내에 존재하는 1200여동의 건축물 중 보존이 필요한 일부 건축물 80여동을 재활용하는 차원에서 8개 시설물 활용방안(콘텐츠)을 검토한 바 있다.
 
하지만 민족성, 역사성, 문화성이라는 공원의 기본이념에 충실하지 않다는 지적에 따라 앞으로 부지 위에 건물을 신축하지 않기로 했다.
 
아울러, 보존 및 활용가치가 높은 기존 건물에 대해서도 원래의 활용방안을 전면 재검토 한다. 오랜 시간을 두고 전문가 검토, 관계기관 협의, 그리고 국민적 공감대를 거쳐 최대한 엄격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활용여부를 신중히 판단해 나갈 예정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새로 조성될 용산공원(호수)을 바라본 모습. 자료/국토교통부
 
한편 이날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는 2012년 용산공원 마스터플랜 국제공모에서 당선된 후 현재까지 조성계획 수립을 이끌어온 네덜란드 출신의 세계적 조경가 아드리안 구즈 West8 대표와 대한민국의 대표적 건축가 승효상 이로재건축사사무소 대표의 특별대담이 두 시간 동안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아드리안 West8 대표는 100년 이상 일본군과 미군의 군사기지로 사용되면서 훼손된 용산의 자연지형을 회복하고, 남산에서 한강으로 이어지는 녹지축을 복원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병기창, 위수병원, 총독관저 등 일본군 부대시설의 터로 추정되는 부지를 '마당'이라는 한국적 플랫폼으로 재해석 해 다양한 공간으로 조성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승효상 이로재건축사사무소 대표는 그간의 역사유적 조사결과와 공원계획의 유기적 연계를 강조했다.
 
승 대표는 "용산은 수백년의 역사가 적층된 곳"이라며 "조선시대와 일제 강점기, 미군 부대 등 3개의 독립된 부분을 한 데 엮어 역사와 자연, 문화가 어우러진 공원으로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2017년 미군이 퇴거하면 그동안 보안문제로 조사하지 못했던 지하벙커, 유류저장고과 같은 지하 시설물 현황을 조성계획에 추가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며 "지하공간은 건축적 상상력을 끊임없이 자극하는 곳으로, 이를 리모델링해서 제대로 활용할 수만 있다면 공원부지의 생태성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공간에 대한 다양한 수요를 담아내는 묘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용산공원 정비구역 현황. 자료/국토부

 
최승근 기자 painap@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