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G2 리스크 커진 외환시장…"외환당국의 적절한 미세조정 필요"
중국 리스크가 더 문제…향후에도 환율변동성 위험 커
2015-11-01 11:14:08 2015-11-01 11:14:08
글로벌 경제의 외풍이 세지면서 한국 외환시장도 출렁이고 있다. 외환시장이 크게 요동치는 것은 단연 미국과 중국발(發) 리스크, 소위 'G2 리스크' 때문이다. 대외 개방도가 높은 한국에는 피할 수 없는 숙명이기도 하지만, 최근엔 그 정도가 심하다는 게 문제다.
 
환율 변동성은 G2 리스크가 잦아들지 않는 한 앞으로도 빈번한 급등락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발 리스크가 커질 경우 환율 변동성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이에 외환당국의 적절한 개입과 더불어 중기적으로 불황형 흑자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일 한국은행과 LG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최근 두 달 동안에만 큰 폭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롤러코스터를 탔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4월말 달러당 1068원에서 9월 들어 1200원선까지 크게 오르더니 10월 들어서는 다시 1120원 수준으로 급격히 떨어졌다. 9월29일 달러 당 1202원을 기록한지 14거래일 만에 원화가 달러 대비 7% 이상 절상된 것이다.
 
환율이 이처럼 크게 흔들리는 것은 미국과 중국 때문이다. 미국 금리인상이 점점 다가오는 상황에서 중국으로 대표되는 경기리스크까지 맞물리면서 외환시장의 변동성은 심화됐다.
 
미국의 경우 금리인상에 대한 기대가 이미 반영됐다고는 하지만, 올해 들어 미 연준의 스탠스에 따라 한국의 외환시장은 크게 요동쳤다. 9월 초까지만 해도 미국의 금리인상이 임박한 것으로 관측돼 환율이 1200원 이상으로 치솟았지만, 이달 들어서는 미국의 경기지표가 나빠져 정반대의 흐름을 보였다.
 
중국은 최근 성장둔화 우려가 커질 때마다 신흥시장의 경제위기론이 증폭되면서 원화 값도 요동쳤다. 원화의 경우 미국 금리인상 이슈만 불거졌을 때에 비해 중국 불안이 확대됐을 때 절하 폭이 더욱 확대됐다. 글로벌 자금흐름에서 중국 요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원화 가치 역시 큰 폭의 등락을 보인 것이다.
 
문제는 G2 리스크에 따른 외환시장의 변동성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이란 점이다. 최문박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미국발 통화긴축 압력과 중국 성장세 저하는 단기에 해소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면서 "잠잠한 듯 하다가도 다시 불거지며 앞으로도 상당 기간 동안 글로벌 경기와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국은 중국과 교역연관성이 높을 뿐 아니라 해외시장에서 경쟁관계도 작용하고 있어 중국 경기둔화 및 위안화 절하 영향이 다른 나라에 비해 더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즉 G2 리스크 중 중국 리스크가 더 위험할 수 있다는 얘기다.
 
환율 변동성 확대는 그 자체로 경기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미래 수익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져 투자를 위축시킬 뿐만 아니라 환위험 관리비용 증가가 가격 상승압력으로 작용해 소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환당국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최 책임연구원은 "원화는 경상수지 흑자라는 강세요인과 높은 대외개방도라는 약세요인을 모두 가지고 있어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높은 상황"이라면서 "외환당국의 적절한 스무딩 오퍼레이션(미세 조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보다 근본적으로는 정책 당국의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미리 기대의 쏠림을 막는 한편, 중기적으로 불황형 흑자 구조를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
 
(자료제공=LG경제연구원)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