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러 '핵 군축 협정' 논의 재개 합의 '우크라 전쟁과 별개'
미 국무부 "건설적인 회의 이뤄지길 기대"
CNN "미국, 현장 사찰이 우선돼야만 협상할 듯 "
2022-11-09 17:09:10 2022-11-09 17:09:10
(사진=연합뉴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
 
[뉴스토마토 박재연 기자] 미국과 러시아가 양국 간 핵통제 조약인 신전략무기감축협정(New START·뉴스타트) 논의를 재개하는 데 합의했다.
 
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뉴스타트 협정 관련 사항을 다루는 양자협의위원회(BCC)가 곧 소집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우리는 뉴스타트 협정에 따라 BCC가 가까운 시일 안에 만날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며  "BCC가 하는 일은 기밀이지만 우리는 건설적인 회의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BCC는 원래 매년 두 차례 소집된다. 다만 작년 10월을 마지막으로 1년 넘게 추가 일정이 잡히지 못한 상태였다.
 
뉴스타트는 실천배치 핵탄두 수를 1550개 이하로 제한하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전략폭격기 등의 운반체를 700기 이하로 줄이는 내용을 포함한다. 지난 2010년 미국과 러시아가 해당 협정을 체결, 2011년 2월 발효한 바 있다.
 
이후 양국 합의로 연장됐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미·러 분위기가 경색되면서 추가 연장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두고 핵 위협을 한 것과는 별개로, 러시아 정부가 핵통제 조약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는 것을 미 당국자들이 긍정적인 변화로 인식하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다만 미국 정부는 핵무기 관련 시설에 대한 현장 사찰이 재개돼야만 협상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라고 매체는 덧붙였다.
 
뉴스타트 협정에 따라 미국과 러시아는 상대국 핵무기 관련 시설을 주기적으로 사찰해 왔다. 그러나 지난 8월 서방 제재에 반발한 러시아가 자국 핵시설에 대한 사찰을 허용하지 않겠다며 강경한 입장을 보인 상태이다.
 
이에 프라이스 대변인은 대러제재와 뉴스타트 관련 논의 재개는 별개의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은 러시아를 향한 (수출 제재) 조치 러시아 사찰관들이 미국에서 뉴스타트 협정을 수행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라며 "따라서 우리는 BCC 회의를 통해 사찰이 계속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설명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날 구체적인 회의 날짜와 장소를 밝히지는 않았다. 이에 로이터 통신은 익명의 한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BCC회의가 이집트 수도 카이로에서 열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한 바 있다.
 
박재연 기자 damgomi@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