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초점)한국 재즈·록 공연의 산실, 코로나에 스러져 간다
청담동 원스 인 어 블루문, 지난달 마지막 공연 끝 폐업
간판 내린 홍대 브이홀…코로나에 상징적 문화 공간들 타격
2020-12-18 14:29:31 2020-12-18 14:29:31
[뉴스토마토 권익도 기자] “재즈는 늙지 않는 음악입니다. 어딘가에서 이렇게 계속 연주될 것이고….”
 
지난달 14일 저녁 서울 강남구 선릉로의 재즈 클럽 ‘원스 인 어 블루문(블루문)’. 두 번째로 무대에 오른 재즈 보컬리스트 웅산씨가 먹먹한 목소리로 관객들과 대화를 이어갔다. 본격적인 재즈 공연에 앞서 진도 씻김굿 중 하나인 비나리를 열창한 직후.
 
“안 좋은 일들 없어지고 좋은 일들만 가득하시라고 불러봤습니다.(‘비나리’) 오늘 블루문의 마지막 공연, 이 역사적인 시간에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국내 재즈 문화의 ‘산실’로 자리매김하던 ‘원스 인 어 블루문’이 이날 공연을 끝으로 22년 역사를 뒤로한 채 문을 닫았다. 1998년 4월 개업한 블루문은 국내외 유명 재즈 뮤지션들이 거쳐간 공연 장소이자 문화 명소로도 꼽힌다. 
 
드라마 ‘파리의 연인(2004)’, ‘내 이름은 김삼순(2005)’ 등의 촬영 장소로 쓰이는가 하면 윈턴 마살리스, 팻 메시니 등 세계적 재즈 연주자들의 뒷풀이 장소로도 쓰였다.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열혈 재즈팬인 거스 히딩크 감독이 한국 국가대표팀 경기를 마치자마자 이곳으로 달려온 일화는 아직도 유명하다.
 
지난달 14일 저녁 서울 강남구 선릉로의 재즈 클럽 ‘원스 인 어 블루문(블루문)’. 두 번째로 무대에 오른 재즈 보컬리스트 웅산씨의 공연 모습. 사진/뉴스토마토 권익도 기자
 
이날 마지막 공연에는 이정식, 웅산, 김현미, 김준 등 재즈계 대표 뮤지션들이 차례로 무대에 올라 밤 12시까지 관객들과 아쉬움을 나눴다. ‘Take Five’, ‘FLY TO THE MOON’, ‘What a Wonderful World’ 등 재즈 명곡을 소화하며 이들은 공연 내내 대한민국 재즈 성장에 기여한 블루문의 역할에 대한 이야기를 오갔다.
 
이날 아티스트 대기실에서 만난 한국 1세대 재즈 보컬 김준 씨(80)는 “1930~1940년대 뉴욕 재즈 클럽 같은 인상을 갖게 해준 곳”이라며 “무대에 서면 흡사 냇 킹 콜이 된 것 같기도 했다”고 돌아봤다. 옆에 있던 색소포니스트 이정식씨도 “20년의 세월동안 어려운 국내 재즈신의 여건을 떠받든 곳”이라며 “잠시 쉬어가며 도약의 계기가 되길 바라고 있다”고 거들었다.
 
‘블루문’의 결정적 폐업 이유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올해 내내 어려움을 겪은 데다, 새 건물주가 재건축을 결정하면서다. 
 
이날 마지막 공연을 마친 뒤 창업자 임재홍 사장(63)은 “코로나19라는 것이 결국은 극복할 수 없는 한계 같은 것이었다”며 “지난 몇 달 간 새로 오픈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매일 새벽 2~3시까지 머리를 싸맸지만 막다른 혜안이 없었다”고 아쉬워했다. 
 
2009년 밴드 킹스턴루디스카의 브이홀 공연 모습. 사진/뉴시스
 
블루문 만의 문제는 아니다. 코로나19 장기화 여파로 문화 저변을 확대하던 ‘꿈의 무대’들이 여기저기 스러져가고 있다. 지난달 홍대 앞 밴드신 ‘메카’로 불리던 라이브 공연장 브이(V)홀은 아예 간판을 내렸다. 지난 9월부터 사실상 영업을 중단해왔다.
 
브이홀은 2007년 ‘마왕’ 신해철이 설립한 ‘고스트씨어터’가 전신이다. 당시 인디신에 대한 애정을 가져온 신해철 주도로 600~700석(스탠딩 기준) 규모의 홍대 앞 최대 라이브 공연장을 만들었다. 이후 블랙신드롬의 박영철, 스키조의 주성민(브이엔터테인먼트 대표 프로듀서)이 배턴을 이어받아 운영을 이어왔다.
 
무엇보다 밴드 음악을 알리는 창구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헬로윈, 스트라이퍼 등 헤비메탈 밴드부터 제프 버넷, 커린 베일리 레이, 맥 드마르코 등 해외 유명 뮤지션들이 그간 이 곳을 거쳐갔다. 이승환과 부활, 서태지, 넬 등의 뮤지션들 또한 장기 공연으로 이 곳을 낙점했었다. 한때 인디신에서는 “이 곳을 채우면 예스24라이브홀까지 갈 수 있다”는 얘기들도 나왔다.
 
브이홀 운영을 맡아온 주성민 대표 프로듀서는 전화통화에서 “밴드신에서는 ‘무림 고수’의 전초전 같은 공연장이었다”며 “10년간 관객과 ‘소통 창구’로 역할해오던 공간이 사라진 것을 아쉽게 생각한다”고 돌아봤다.
 
브이홀 외에도 밴드신의 ‘산실’ 역할을 하던 홍대 라이브 공연장들은 올해 하나 둘 문을 닫거나 휴업했다. 지난 3월 무브홀이 철수했고 롤링홀, 상상마당 라이브홀 등 다수 공연장들은 코로나 확산세를 주시하며 공연 재개와 취소를 반복해왔다.
 
주 프로듀서는 “젠트리피케이션에 의한 임대료 상승에 맥을 못 추다가 올해 코로나가 터지면서 생업 자체가 안 되는 상황으로 악화됐다”며 “이렇게 가다가는 상징적인 공간들이 더 큰 타격을 입을까 걱정”이라고 했다.
 
정부의 지원 방식에 대한 아쉬운 목소리도 나온다. 문화 생태계는 넝쿨처럼 자연스럽게 자라는 것인데, 정부가 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엉뚱한 정책만을 쏟아내고 있다는 지적이다.
 
익명을 요청한 한 공연장 관계자는 “민간 공연장엔 코로나 여파에 따른 높은 운영 규제를 적용하면서 반대로 국민세금으로 공공 공연장을 짓는 어이없는 정책이 나오고 있다”고 일갈했다.
 
아직까지 코로나 종식은 불투명한 상황이지만, 그럼에도 오랜 기간 공연 생태계를 일궈온 이들은 꿈을 놓지 않는다. 주 대표는 “당장은 앞이 보이지 않는다”면서도 “10년의 공연 운영 노하우가 있으니 문화사업에 일조할 수 있는 기회가 온다면 언젠가는 다시 나서보고 싶다”고 했다. 공연 마지막 날 만난 임 사장도 “다시 꿈을 꾸고 그림을 그려갈 것”이라며 파란 형광빛 간판으로 아련한 시선을 던졌다.
 
지난달 14일 저녁 서울 강남구 선릉로의 재즈 클럽 ‘원스 인 어 블루문(블루문)’. 사진/뉴스토마토 권익도 기자
 
권익도 기자 ikdokwon@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