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서울 소규모 정비사업에 열 올리는 중견 건설사
대형사 부재 노려 파고들어…브랜드 파워 향상도 기대
2019-08-27 14:28:43 2019-08-27 14:28:43
[뉴스토마토 김응열 기자] 중견 건설사가 서울 진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소규모 정비사업을 연이어 확보하면서다. 사업 규모가 작아 대형 건설사는 관심을 거두고 중견사들은 그 틈을 노린다. 사업 진행 속도도 일반 재건축·재개발보다 빨라 건설사 부담이 적다. 중견사가 영토를 확장하기에 좋은 환경이다. 업계는 중견사의 서울 진출이 브랜드 홍보에 적잖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본다. 동시에 ‘소규모 단지 브랜드’라는 낙인이 찍히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견해도 제시된다.
 
서울시 내 빌라와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시스
 
2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중견 건설사가 소규모 정비사업을 꾸준히 수주하며 서울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동부건설은 방배동에서 신성빌라 주택재건축정비사업의 시공권을 따냈다. 90세대의 소규모 재건축으로 계약금액은 255억원이다. 
 
신동아건설도 이달 동대문구 제기동에서 공성아파트 소규모 재건축사업을 수주했다. 약 174억원 규모의 공사로, 회사는 78세대 규모의 아파트를 건설한다. 이에 앞서 송파구에서는 101세대가 들어설 아파트를 공사하는 가로주택정비사업을 따냈다. 공사비는 약 261억원이다.
 
이외에도 소규모 정비사업의 시공권을 두고 중견·중소 건설사들의 입찰이 몰리는 경우도 있다. 중랑구의 한 가로주택정비사업에는 라온건설, 원건설을 포함해 총 4곳 건설사가 출사표를 던진 바 있다. 관악구의 가로주택정비사업에서도 중견·중소 건설사간 4파전이 치러졌다. 
 
이처럼 중견사들이 소규모 정비사업을 중심으로 서울에 깃발을 꽂을 수 있는 데엔 우선 대형사들이 소규모 사업에 관심이 적은 점이 꼽힌다.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은 자율주택정비사업(최대 20가구 미만), 가로주택정비사업(단독 10가구 이상, 다세대 20가구 이상, 토지면적 1만㎡ 미만), 소규모재건축사업(노후 건축물 200가구 미만)으로 구분된다. 
 
이들 사업은 공사비가 적고 가구 규모도 작아 단가를 낮추기 어렵고 사업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에 대형사는 한강변, 강남 등 브랜드 가치를 올리거나 상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역이 아닌 이상 소규모 정비사업에 소극적이다. 대형사는 오히려 지방의 일반 재건축·재개발 시공권 확보에 나서고 있다. 중견사로서는 수익이 많이 남지 않더라도 서울에서 영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다.
 
소규모 정비사업의 진행 부담이 일반 재건축·재개발보다 덜한 점도 중견사의 진출 동기를 높인다.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 따르면 소규모 정비사업은 일반 재건축·재개발보다 절차가 간소하다. 정비기본계획수립이나 구역 지정 등 절차가 생략되고 관리처분계획도 사업시행계획 인가 과정에 포함된다.
 
사업 주체 구성에도 차이가 있다. 기존 재건축·재개발 사업처럼 조합을 설립할 수도 있고, 조합과 비슷한 주민합의체를 구성해 신고해도 된다. 이러한 차이에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보통 8년 넘게 걸리는 데 반해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은 2~3년 정도로 짧다. 
 
이 같은 환경에서 중견사는 서울 진출에 속도를 내며 브랜드 파워 확대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브랜드 영향력이 약한 상황에서 서울에 자사의 아파트를 세워 브랜드 인지도를 쌓아갈 수 있을 것이란 계산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견사가 서울로 발을 넓힐수록 인지도 향상도 노릴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낙관적인 전망과는 달리 브랜드 이미지가 깎일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소규모 단지 브랜드’라는 낙인효과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브랜드 파워 성장은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김응열 기자 sealjjan11@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