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소비고령화' 우려 커지는데…"고령층, 자산보다 소득 늘어야"
60세 이상, 평균소비성향 낮아…고령화 속 전체 소비 감소 가능성
2019-03-25 06:00:00 2019-03-25 06:00:00
[뉴스토마토 박진아 기자] 우리나라 인구구조가 점차 고령화하면서 고령층의 소비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 고령층 가구의 소비 수준이 낮은 상황에서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되면 경제 전체적으로 소비지출 규모가 감소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고령층 가구의 소비가 증가하려면 자산소득보다 근로소득이 늘어나야 한다는 지적이다.
 
고령층 가구의 소비가 증가하려면 자산소득보다 근로소득이 늘어나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사진은 고령층이 노인일자리 사업 안내문을 보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24일 통계청과 국회예산정책처 등에 따르면 지난 2006~2016년까지 60세 이상 가구주의 처분가능소득은 연평균 4.0% 증가했으나, 소비지출은 모든 연령대 중에서 가장 낮은 2.3% 늘어나는 데 그쳤다. 특히 60대 이상 가구주의 평균소비성향은 2006년 79.5%에서 2016년 67.2%로 12.3%포인트나 하락했다. 평균소비성향은 수입에서 세금, 보험료 등을 빼고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에서 실제 소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보통 평균소비성향은 소득수준이 낮은 20~30대에 높은 수준을 보이다가 상대적으로 소득이 향상되는 40~50대에 낮아지고,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다시 높아진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60세 이상의 평균소비성향이 전체 연령대에서 가장 낮다. 일본의 경우 60세 이상 평균소비성향이 88.6%로, 우리나라보다 21.4%포인트나 앞서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65세 이상 평균소비성향이 무려 104.0%에 달한다.
 
한국 고령층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이 낮은 것은 소득 수준이 낮기 때문이다. 2017년 기준 60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264만5000원으로 전체 가구(411만8000원)의 64.2%에 불과했다. 미국 94.5%, 독일 88.3%와 비교하면 한국 고령층의 처분가능소득 수준은 현저히 낮다. 또 고령층 가구 자산이 현금화하기 쉬운 금융자산보다 부동산 등 실물자산에 몰려 있다는 점도 영향을 미친다. 여기에 한국의 경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현재 보유중인 자산이 부족하다고 인식해 자산을 좀 더 축적하기 위한 목적으로 소비지출을 급격히 줄이는 경향도 요인으로 작용한다. 
 
문제는 우리나라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되는 상황에서 이같은 경향이 지속되면 전체 경제의 소비지출 규모가 감소한다는 점이다. 때문에 고령층의 자산소득이 아닌 근로소득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실제 국회 예산처의 분석을 보면 고령층 가구의 가구의 자산소득이 1% 증가하면, 소비지출은 0.01% 증가한다. 반면 근로소득이 1% 증가하면 소비지출은 0.09%나 늘어난다. 이는 고령층의 일자리 창출 정책이 소비 진작에 효과적인 대책이 될 수 있다는 뜻도 된다.
 
김경수 예산처 경제분석관은 "고령화 진전으로 우리나라 전체적으로 가구주의 연령대가 높아지고 있고, 성장잠재력이 크지 않을 경우 거시경제 전체적으로 소비지출의 규모가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며 "고령층의 자산소득보다 근로소득을 늘려 소비를 진작시켜야 하는 이유"라고 지적했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주로 고령층으로 갈수록 노후 준비를 위해 소비성향이 줄어드는데, 최근에는 가계 주거비 부담 등이 커지면서 소비성향이 더 떨어지는 추세"라며 "고령층의 일자리를 적극 창출하고 기초연금제도 확대 등으로 고령층의 소득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