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5G 모바일 시대)숨은 주파수 찾기 분주
2021년까지 5G용 총 2510㎒ 폭 추가 확보…"단말·장비 등 생태계 구축 필요"
2019-02-06 12:00:00 2019-02-06 16:01:04
[뉴스토마토 박현준 기자] 스마트폰을 활용한 5세대(5G) 통신 상용화를 약 한 달 앞두고 정부가 숨은 주파수 찾기에 나섰다. 
 
5G용 주파수는 지난해 6월 경매를 통해 우선 공급됐다. 3.5기가헤르츠(㎓) 대역의 280메가헤르츠(㎒) 폭, 28㎓ 대역 2400㎒ 폭 등 총 2680㎒ 폭이 그 대상이다. 하지만 오는 3월부터 제조사들이 5G 스마트폰을 출시하면 각종 사물인터넷(IoT) 기기와 함께 5G 데이터 트래픽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추가 주파수에 대한 수요도 증가한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주파수 부족 현상을 겪지 않기 위해 오는 2021년까지 총 2510㎒ 폭의 5G 주파수를 추가로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대상은 전국망에 주로 쓰일 3.5㎓ 대역과 인접한 3.4㎓~3.42㎓ 대역의 20㎒ 폭 와이브로 철수 이후 회수되는 2.6㎓ 대역 90㎒ 폭 위성서비스 용도 중 일부 회수되는 3.7㎓~4.2㎓ 대역 중 최대 400㎒ △24㎓ 이상 대역 중 2㎓폭 등 총 2510㎒폭을 확보할 계획이다. 
 
빠른 시일 내에 5G용으로 확보될 대역은 와이브로 주파수용으로 사용됐던 2.6㎓ 대역 90㎒ 폭이 꼽힌다. 기존 와이브로 주파수 대역은 오는 3월에 사용기간이 만료된다. SK텔레콤은 지난해 말 와이브로 서비스를 종료했다. KT는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순차적으로 와이브로 가입자를 롱텀에볼루션(LTE)으로 전환하고 있다. 정영길 과기정통부 주파수정책과장은 "와이브로 주파수 대역은 사용자가 없어 4월 이후에는 5G용으로 사용은 가능한 상태"라며 "하지만 해당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단말이나 통신장비가 출시되며 생태계가 형성이 돼야 5G용으로 쓸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5G와 별도로 6㎓ 대역의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할 계획이다. 정 과장은 "새로운 통신 환경의 비면허 대역에서도 진화된 와이파이 등 다양한 주파수에 대한 수요가 나오고 있다"며 "이동통신표준화기술협력기구(3GPP)도 6㎓ 대역을 차량·사물간통신(V2X)용으로 쓰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어 이 부분은 장기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KT 직원들이 서울 종로구의 5G 기지국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KT
 
3월 스마트폰 5G 상용화에 맞춰 5G 요금제도 출시돼야 하는 상황이다. 5G가 이론상 LTE보다 약 20배 빠른 속도를 제공해 LTE보다 비싸지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온다. 여기서 이통사들의 고민은 시작된다. 5G망 구축에 투입한 비용과 빠른 속도 등을 고려하면 요금이 올라갈 수 있지만 정부와 소비자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지난 2017년 출범 이후 통신요금 인하에 힘을 쏟았다. 선택약정할인율을 20%에서 25%로 상향했고, 기초연금수급자들을 대상으로 월 최대 1만1000원의 추가 요금감면도 시행했다. 이통사들은 신규 요금제를 출시하기 전 정부를 거쳐야 한다. 시장지배적 사업자인 SK텔레콤은 신규 요금제를 출시하려면 반드시 정부의 인가를 받아야 하고, KT와 LG유플러스는 이용약관을 신고할 의무가 있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요금제는 정부와 소비자 모두 민감한 사안이라 신중할 수밖에 없다"며 "빠르고 쾌적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며 소비자들이 납득할 수 있을 수준의 요금제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5G통신정책협의회를 구성해 이통사들이 5G 요금제 책정에 참고할 만한 데이터 수요 등에 대한 사항을 연구하고 있다.  
 
박현준 기자 pama8@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