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사회책임)기업의 사회공헌은 요술방망이가 아니다
2018-06-11 08:00:00 2018-06-11 08:00:00
우리는 주변에서 ‘기업의 사회공헌’이라는 용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이 워딩에 잘 납득이 가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이 표현은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서 기부의 주체로서의 기업과 수혜자로서의 사회를 분리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기업시민으로서, 마땅히 사회 구성원으로서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업의 책임이 배제된 ‘지원자’로서의 역할만 강조된 논리이다.
 
그런 면에서 우리는 유럽에서 기업의 사회공헌이 ‘Community Involvement’라고 불리는 것에 주목을 해야 한다. 번역하기가 쉽지 않지만 한국말로 하면 기업의 지역사회참여 혹은 개입인데, 즉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서 기업시민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행위를 내포하고 있다.
 
최근 이런 개념과 유사한 Collective Impact란 새로운 개념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복잡한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역내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기업이 함께 지역사회를 분석하고 공통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사회공헌 플랫폼을 통해 임팩트 있는 지역 사회공헌 사업이 진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필자는 최근에 마치 이것이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도깨비 요술 방망이처럼 여겨지는 것이, 얼마 전의 CSV(공유가치창출)광품이 불며 많은 기업에서 CSR을 CSV로 대체하던 경향이 오버랩된다. Collective Impact가 효율적으로 작동되려면 여러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 Collective Impact는 철저히 지역화 전략이 구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특히 지방정부와 지역내 정치인의 역할이 중요하다. 지역 사회공헌 플랫폼의 공동대표로 지방정부, 대기업, 중·소기업 대표(소상공인 포함), 지역사회 대표, 외부 전문 기관 등으로 구성하는 지역포럼을 구성하여 지속적인 조사연구, 문제해결의 공통 목표를 설정 작업을 진행하면서 상호 신뢰가 구축되고 성과가 공정하게 각 참여기관에게 분배되는 긍정 경험이 초창기에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그 과정 속에서 전체 지역내 포럼을 구성하고 다시 이슈별 분과 포럼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일개의 지역사회 이슈는 기타 다른 이슈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한 분야의 독자적인 프로젝트만으로 그 이슈가 해결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둘째, 지역내 대기업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로 설득할 필요가 있다. 항상 대기업은 자신들이 One of them이을 아니라 Only We 방식의 독자적인 사회공헌을 진행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들을 지역사회문제 해결의 주요한 player로 포지셔닝하기 위해서는 어떤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지, 그 속에서 기업의 역할과 가치 창출은 어떻게 가능한지에 대한 고민의 장에 일단 끌어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는 기업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SDGs 관점의 기업 CSR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즉 기업측면에서 SDGs는 비즈니스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CSR은 미래 비즈니스 기회 파악→기업 지속가능성의 가치 강화→우선순위 선정→지표선정 및 데이터 수집 →목표선정→SDGs 지지선언(투명한 외부공개)一관리와 운영, 성과평가와의 통합→보고 및 소통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세부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는데, 이 툴을 적극 활용하여 대기업을 지역내 사회공헌 플랫폼에 참여하도록 설득하여야 한다.
 
셋째, 지역내 중소·중견 기업 혹은 기업내 산업단지를 묶어내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기업의 관점에서 사회공헌 목표가 비즈니스 기회 확보로 변화하고 사회공헌의 대상을 단순히 도와줘야하는 수혜자로만 여기는 것이 아니라 잠재적인 소비자로 보는 것을 인정해줘야 한다.
 
지역내 대기업은 자체적으로 이런 전략을 세우고 유관 NPO를 자신의 파트너로 선택할 수 있다. 전문성과 자본력을 갖추고 있지만 지역내 중소.중견,소상공인 들은 이런 니즈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할 방도를 찾지 못하고 개별적인 소규모의 기부행위만 반복하고 있다. 지역내 사회공헌 플랫폼에서 이런 기업들을 한 데로 묶어내서 그들에게 가치를 제공해준다면 매우 큰 효과가 발생할 것이다.
 
넷째 SIB(Social Impact Bond·사회성과 채권연계)를 기업 사회공헌 기금과 적극적으로 연결해야 한다. 이는 민간의 자금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프로그램이 사전적으로 설정한 목표치를 달성했을 경우에 정부가 사후적으로 예산을 집행하는 방식이다. 즉, 정부와 계약을 맺고 성과에 따라 원금과 수익을 보상받는 사회문제의 해결이 곧 투자수익으로 연결되는 혁신적 금융상품이다.
 
최근 중앙정부도 이 부분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이를 활성화할 법률 TFT를 꾸려서 진행 중이다. 각 과업을 진행하기 위해 사업을 총괄하는 운영기관, 직접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수행기관, 자금을 제공하는 민간투자자,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기관, 그리고 커미셔너이자 이해관계자로 참여하는 구조인데, 기업은 투자자이자 커미셔너가 될 수가 있다. 지역내 모든 사회문제를 SIB에 담을 수는 없지만 이 툴은 일부 정량적 목표 설정이 가능한 지역내 문제해결에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박주원 지속가능경영재단 CSR경영센터장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