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부실, 고위험 투자 증가 불구 내부통제 미흡 때문”
한국금융연구원 보고서 지적..“지역밀착형 금융 강화해야”
2011-10-23 14:49:46 2011-10-23 14:50:36
[뉴스토마토 이승국기자] 저축은행의 부실을 가져온 것은 저축은행이 고위험 투자에 집중할 유인은 계속 많아졌지만 감독과 내부통제는 미흡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시연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3일 내놓은 ‘저축은행업의 구조적 취약성과 시사점’이란 보고서에서 “저축은행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과 같은 고위험 대출에 집중할 구조적 유인이 계속 높아졌지만 이에 대한 적절한 제도적 대응과 감독이 실패하면서 현재의 부실을 가져왔다”고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저축은행은 자산운용 측면에서 저축은행업의 주 고객군이 신용위험이 큰 비우량 고객으로 점차 변함에 따라 감소한 여신 수요를 부동산 관련 대출로 대체했다.
 
또 저축은행의 자본력이 취약하고 자금조달 구조가 불안정해 고금리 예금수신의 비중이 높아지자 고위험·고수익 투자 유인이 더욱 높아지게 됐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 위원은 “저축은행의 소유 집중도는 계속 오르고 대형화·계열화도 빠르게 이뤄졌지만 지배주주 경영진에 대한 경영감시는 적절히 이뤄지지 않았고, 자체적인 위험관리도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향후 저축은행업의 장기적인 경영안정화를 위해서는 저축은행의 고위험 투자 유인을 통제하기 위한 경영감시 장치를 명확히 확립하고 지역밀착형 금융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