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현준 기자] 정부가 한국판 뉴딜의 디지털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이른바 ‘데이터 댐’을 구축해 데이터 경제를 키운다. 민·관 데이터 컨트롤 타워도 만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한국판 뉴딜의 한 축인 디지털 뉴딜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난 14일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로 구성됐다.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디지털 뉴딜에 국비 44조8000억원을 비롯한 총 58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같은 기간 약 90만3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디지털 뉴딜은 △DNA(데이터·네트워크·AI) 생태계 강화 △교육 인프라 디지털 전환 △비대면 산업 육성 △SOC 디지털화 등 4대 분야의 12개 추진과제로 구성됐다. 과기정통부는 DNA 생태계 강화 분야 정책을 통해 올해 하반기 중으로 민·관 합동 데이터 컨트롤 타워를 마련할 방침이다. 데이터 수집·개방·활용부터 데이터 유통 및 AI 활용에 이르기까지 데이터 전주기 생태계를 강화하자는 취지다.
정부는 디지털 뉴딜에서는 △데이터 댐 △지능형 정부 △스마트 의료 인프라 △국민안전 기반시설(SOC) 디지털화 △디지털 트윈 등이 5대 대표과제로 꼽았다. 먼저 데이터 댐 사업을 통해 오는 2021년까지 14만2000개의 공공 데이터를 개방하고 공동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구축한다. 각 기관이 개별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도 타 기관 데이터와 연계·분석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다. 활용도가 높은 분야의 빅데이터 플랫폼을 기존 10개에서 30개로 추가 구축한다. 8400개 기업을 대상으로 데이터 구매·가공 바우처를 제공한다. 2025년까지 1300종의 AI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공공 데이터 개방으로 오히려 해외 기업에게 득이 되는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꼭 국내·외 기업간의 문제가 아니더라도 데이터 분야에서 노력한 기업이 개방으로 인해 문제를 겪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AI 융합 사업도 추진된다. 과기정통부는 공공 분야에서 경제적 파급효과와 국민 체감도가 높은 분야에 대해 'AI+X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온라인 통합 플랫폼인 디지털 집현전도 마련된다. 이는 분산된 도서관 데이터베이스, 교육콘텐츠, 박물관·미술관 실감콘텐츠 등을 연계해 통합검색·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디지털 뉴딜 세부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지능형 정부 과제에는 모바일 신분증 도입·지능형 공공서비스와 공공정보 시스템 클라우드 전환 등이 포함됐다. 스마트 의료 인프라는 디지털 기반의 안전한 진료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골자다. 주요 사업은 △감염병 안심 스마트 의료 인프라 구축 △호흡기 전담 클리닉 1000개소 설치 △AI 정밀의료 등이다. 정부는 의료계와 논의를 거쳐 비대면 의료 제도화를 추진하고 재택 의료 건강보험 수가 시범사업도 확대할 예정이다.
국민안전 SOC 디지털화에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C-ITS) 구축 추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4세대 철도무선망 구축 △2022년까지 15개 공항에 비대면 생체인식 시스템 구축 등이 포함됐다. 또 정부는 디지털 트윈 사업을 통해 △전국 3차원 지도 △지하공공간 통합지도·지하공동구 지능형 관리시스템 △정밀도로지도 구축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박현준 기자 pama8@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