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하반기 ESS 시장 회복 기대감 '솔솔'
정부 5일 화재 원인 발표…특정 업체 아닌 '복합적 문제' 결론 가능성
단가 상승·제도 정비 고려시 3분기 시장 불안 의견도
2019-06-01 00:00:00 2019-06-01 00:00:00
[뉴스토마토 이아경 기자] 6월 초 정부의 에너지저장장치(ESS)의 화재 원인 조사 발표를 앞둔 가운데 ESS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ESS 화재 원인이 배터리 제조사 등 특정 업체의 문제가 아닌 복합적인 문제로 귀결될 가능성이 유력하기 때문이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5일께 ESS 화재 원인 및 재가동 허용 여부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ESS 화재는 냉장장치 제어 및 과전압 감지 등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설치 및 운영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발생했다는 쪽으로 기우는 분위기다. 
 
ESS는 태양광, 풍력 등으로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방출하는 설비다. 정부는 에너지전환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ESS 보급을 확대해 왔다.
 
경산변전소 ESS 설비. 사진/산업통상자원부
복합적인 원인으로 화재 조사 발표가 마무리되면 올 들어 발주가 전무했던 국내 ESS 시장의 수요는 다시 살아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ESS에 들어가는 배터리 제조사인 LG화학과 삼성SDI의 국내 ESS 사업도 회복이 예상된다. 앞서 LG화학은 1분기 전지 사업부문에서 ESS 화재에 따른 일회성 비용 1200억 원이 발생했다. 
 
다만 정부가 ESS 안전기준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어 ESS 설치 단가는 높아질 전망이다. 전류차단 등의 조치와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설비 추가 등을 감안하면 단기적으로 ESS의 수익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업계는 ESS 단가 상승 외에도 제도 개선에 따라 신규 발주에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고 우려한다. 정부는 ESS 설치기준, ESS 구성품 KC 인증 등 생산과 설치 전반에 대한 제도 정비를 8월 말까지 마칠 계획이다. 정부는 ESS 설치기준 개정 전이라도 신규 발주가 가능하도록 절차적 지원도 검토한다는 계획이지만, 보수적으로 접근하면 3분기 시장도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ESS 설치 기준 관련 개정안을 만들고 논의하는 시간을 고려하면 하반기 장사도 어려울 수 있다"며 "최대한 빨리 조사 결과가 나오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ESS는 지난해 5월부터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총 22건 발생해  ESS 사업장 1490곳 중 약 35%인 522곳이 가동을 멈췄다. 
 
이아경 기자 aklee@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