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미리 보는 2019년 건설·부동산)먹거리 걱정 커진 건설사…해외 돌파구 사활
건설사들, 해외 전문가 전면 배치…동남아 등 신흥시장 확대는 기회
2019-01-01 06:00:00 2019-01-01 06:00:00
[뉴스토마토 손희연 기자]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시장 규제로 건설업계에 적신호가 켜졌다. 지난해 주요 건설사의 실적은 최근 몇 년 간 주택 분양 시장의 호황으로 대체적으로 양호한 성과를 보였지만 정부의 강력한 규제가 지속됨에 따라 업황이 위축되고 있다. 이에 건설사는 국내보다는 해외사업에 힘을 실으며 새 먹거리 확보에 사활을 건다. 
 
국내 주요 대형 건설사의 지난해 3, 4분기 실적은 대체로 양호했다. 부실 해외 프로젝트 감소 및 최근 몇 년간 지속된 주택 분양시장 호황이 호실적을 뒷받침했다. 이는 내년 실적을 장담하기 어렵게 만드는 대목이기도 하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몇 년 간 국내 주택 분양 시장의 호황이 어느 정도 반영된 결과"라며 "문제는 올해부터인데 국내 건설업계가 각종 규제로 위축된 가운데 올해는 해외 사업 먹거리 창출에 집중하는 건설사가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지역에 위치한 대규모 가스 플랜트 공사 현장. 사진/뉴시스
 
건설사들은 해외사업이 더욱 절실해졌다. 정부의 규제 정책으로 국내 주택 시장 불확실성이 팽배하기 때문이다. 국내 주택 사업 비중이 큰 중견 건설사들은 실적 하방 압력을 받으면서 다각화에 힘쏟을 것으로 보인다. 지방 사업이 많은 중소 건설사의 경우 미분양이 쌓인 '돈맥경화'로 법정관리에 들어가거나 부도 등 폐업 위험도가 높아지고 있다. 
 
건설사 한 관계자는 "대체로 건설사 실적은 앞선 정부의 정책이 큰 영향을 미친다"라며 "2014년 말부터 주택 분양 시장이 호황을 누리면서 반대로 2016년 이후 해외 수주는 줄어들었다. 이제 다시 부동산 시장 규제로 인해 건설사들이 해외 먹거리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해외 진출 움직임은 활발하다. 지난해 건설사 다수가 임원 인사에서 해외 전문가들을 주요 요직에 배치했다. 정부도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 진출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팔을 걷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6월 국내 건설사의 해외투자 개발사업(PPP)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해외투자개발사업 전문지원기관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를 출범시켰다. 정부는 해외 사업을 지원할 3조원 규모 펀드 조성을 포함해 약 6조원 규모의 금융 지원 패키지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해외 발주 시장 경쟁 심화 속에도 지난해 건설사들은 해외 수주액 300억달러를 초과 달성했다. 해외건설 수주액 300억달러 돌파는 2016년 이후 3년 만이다. 해외 플랜트 발주시장이 동남아 및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건설업계에서는 올해 해외 먹거리 발굴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친다. 건설사 한 관계자는 "중동 정세와 국제유가 불확실성으로 대규모 발주를 기대하기가 다소 어려움은 있지만 아시아 등 신흥시장에서 먹거리 발굴에 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가도 올해 건설사들의 해외 사업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송유림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해외 수주에 대한 기대감은 유효하다"라며 "2019년 국내 건설사의 해외 수주액은 약 450억달러로 지난해 예상 수주액 320억달러 대비 약 38%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라며 "가장 큰 이유는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수주가 늘어날 것으로 보는데 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경쟁상황은 녹록지 않다. 중국의 저가 수주 공세에 밀리면서 해외 수주 점유율은 떨어지고 있다. 올해 해외 발주 성장률은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관측되며 한정된 파이를 둘러싼 만만찮은 경쟁을 예고한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저렴한 인건비로 승부하는 중국과 기술력에서 강세를 보이는 유럽 선진 국가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차별화 전략이 올해 해외 수주 시장 개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이광표 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해외 선진기업 대비 2007년 81%에서 2018년 71%로 국내 기업들의 역량 수준이 정체돼 있거나 감소한 것으로 파악된다"라며 “해외 프로젝트 수주를 통해 먹거리를 확보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해외사업에서 과거와 같은 손실을 다시 경험하지 않기 위해서는 통합관리, 리스크관리, 클레임관리 등 프로젝트관리 분야에 대한 역량 제고가 필수적”이라며 "경영진 의지가 반드시 동반돼 실무진에겐 프로젝트 관리 체계 및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문화가 확산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희연 기자 gh7048@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