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임야태양광·바이오에너지 '지고' 지붕태양광 '뜨고'
RPS 사업자 공급의무량 중 태양광 28%…환경파괴 우려로 산림·바이오 대신 건축 태양광 관심 증가
2018-09-27 16:51:05 2018-09-27 16:51:05
[뉴스토마토 강명연 기자] 임야 태양광이 산림을 훼손한다는 비판이 커지는 가운데 지붕 태양광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보급률을 20%로 확대한다는 정부 발표 이후 중기업계에서도 관련 신사업에 힘을 싣는 상황이다.
 
27일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재생에너지 공급의무제도(RPS) 의무사업자의 전체 공급의무량 가운데 태양광은 28%에 이른다. 연소를 통해 에너지를 얻는 화력발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비판을 받는 바이오(37%)를 제외하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 풍력(9%)과 수력(7%)에 비해서도 3배 이상 많이 활용되고 있다. 500MW 이상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가 총 발전량의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한 RPS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2012년부터 도입된 뒤 매년 의무공급비율을 늘려가고 있다.
 
하지만 국토 면적이 작은 국내에서 큰 설치면적을 필요로 하는 태양광이 임야에 주로 설치되면서 자연을 파괴한다는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돼왔다. 산림청에 따르면 산지 태양광발전소 허가면적은 2010년 30㏊에서 지난해 1434㏊로 30배 가량 급증함에 따라 곳곳에서 환경 파괴 논란이 점점 커지는 상황이다.
 
KCC 종합연구동. 사진/KCC
 
정부 역시 깨끗하고 친환경적인 신재생 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임야 태양광과 바이오·폐기물 발전에 대한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에서 가중치를 낮추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6월 임야태양광 가중치를 0.7~1.2에서 0.7로 하향했다. 바이오에너지에 속하는 목재 칩·펠릿 가중치는 1.0~1.5에서 0.5로 하향조정됐고, 석탄혼소(석탄·목재펠릿 동시 사용)의 경우 가중치를 없애기로 했다. 발전 사업자들은 자체 재생에너지 설비를 활용해 전력을 공급하거나 재생에너지 사업자로부터 공급 인증서(REC)를 구매해 할당량을 확보할 수 있어 높은 가중치는 사업자의 수익성을 뒷받침한다.
 
대안으로 떠오른 것은 지붕 태양광이다. 중기업계에서도 지붕 태양광을 신성장 동력으로 추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건자재업체 KCC는 지난 7월 경기도 용인시에 준공한 자사 중앙연구소 종합연구동에 태양광발전소를 구축했다. 김천과 대죽, 여주 등 전국 10개 공장에 이은 자체 태양광발전소로, 외벽면을 활용해 3150개의 태양광 모듈을 통해 연간 1344MWh 규모의 전력을 생산한다. 이는 일반 가정 373세대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다.
 
에스와이패널 역시 2012년 태양광 설치용 지붕재 솔라루프를 개발한 뒤 지난해부터 관련 사업에 본격 뛰어들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량을 채워야 하는 SK E&S와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향후 20년 간 공장 등 대규모 건축물 지붕을 임대해 태양광 발전소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무타공 공법을 도입해 태양광의 누수를 막고 공기를 90% 이상 단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에너지공단 관계자는 "임야 태양광 가중치가 낮아져 발전사들이 투자해도 이익이 많이 안나는 구조가 됐다"며 "작은 단위로 쉽게 할 수 있는 태양광에서 지붕을 포함한 건물 태양광 비중이 점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지난6월 조두영 에스와이그룹 사장(오른쪽)과 SK E&S 양영철 도시가스사업본부장이 태양광발전사업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에스와이패널
 
강명연 기자 unsaid@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