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다시 제조업이다)제조업의 재발견…세계는 첨단기술 전쟁 중
미·중·일·독, 제조업 부흥책 '시동'…신흥국도 경쟁대열 합류
2018-07-10 06:00:00 2018-07-10 06:00:00
[뉴스토마토 김진양 기자] 제조업이 재조명되고 있다. 노동력과 설비 중심의 굴뚝산업 개념에서 첨단산업 주도권을 다투는 국가경제의 미래로 부상했다.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인공지능(AI), 로봇 등을 앞세운 첨단 제조업이 부상하면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주요국들의 수싸움도 치열해졌다.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등 기존의 제조 강국들은 물론 인도, 태국, 베트남 등 신흥국들도 경쟁대열에 합류했다. 한국도 시대 흐름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미진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4차 산업혁명은 지난 2016년 1월 다보스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의 이해'가 의제로 채택되며 대중을 강타했다. 하지만 제조업에서의 4차 산업혁명은 훨씬 이전부터 관심을 받았다. 첫 포문은 독일이 열었다. 독일은 2013년 '인더스트리 4.0' 정책을 마련하며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제시했다. 앞서 주요국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극복 대안으로 '제조혁명'을 내세웠다. 생산성 향상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그동안 등한시했던 제조업의 부활 정책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비슷한 시기 무선인터넷과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사물인터넷(IoT), 3D프린터 등을 활용한 신공정 기술이 등장했고, 하드웨어·소프트웨어·서비스가 결합한 고부가 융합이 주목을 받았다. 플랫폼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중요성도 부각됐다. 이런 상황에서 독일이 4차 산업혁명 개념을 도입하며 산업계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었다. 이후 미국은 'manufacturing USA', 중국은 '중국제조 2025' 등 정부 차원의 제조업 혁신 전략을 연이어 발표했다. 일본도 아베노믹스의 일부로 언급됐던 '일본재흥전략 개정 2015'를 보완해 지난해 5월 '신산업구조 비전'을 완성했다.
 
첨단 제조업 역량 확보를 향한 열기는 신흥국들도 뒤지지 않는다. 중국의 뒤를 잇는 새로운 제조업 허브를 지향하면서 이를 발판으로 일류 국가로의 도약을 꿈꾼다. 인도는 자동차, 전자, 화학 등 25개 핵신 산업 육성을 골자로 하는 '메이크 인 인디아'와 함께 2020년까지 1조달러 규모의 디지털 경제를 달성하는 '디지털 인디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태국은 '타일랜드 4.0'을 앞세워 4차 산업혁명의 동남아 거점이 되고자 하며, 베트남도 아세안 국가의 관문이라는 이점을 발휘해 외국 기업들의 투자를 적극 유치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제조업의 엔진이 점차 꺼지고 있다. 국회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한국의 제조업 가동률은 2011년 1분기 81.3%를 정점으로 올 1분기 71%까지 하락했다. 금융위기 여파가 미친 2009년 1분기(66.5%) 이후 처음으로 60%대 진입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반도체를 제외한 전 업종이 부진의 늪에 빠졌다. 최근 2년간 제조업 취업자 수가 감소세를 보이는 등 고용 창출력도 둔화되고 있다. 지난해 9월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출범했지만 아직까지 눈에 띄는 정책은 없는 상태다. 4차 산업혁명도 결국은 기초소재와 기계, 정보기술, 자동차 등 기존의 주력산업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에 힘써야 한다는 조언이 뒤따른다.
 
김진양 기자 jinyangkim@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