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미국 등 주요국 금리인상 기조…한국 주택가격 상승여력 감소"
한은, 글로벌 주택시장 보고서…"주택시장 위축될 가능성"
2017-10-22 14:14:47 2017-10-22 14:14:47
[뉴스토마토 한고은 기자] 미국, 유럽연합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가 한국 등 신흥국 주택가격 상승여력을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2일 발표한 해외경제포커스:글로벌 주택시장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글로벌 주택가격은 향후 세계경제의 성장세가 강화되며 당분간 완만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금융위기 당시와 같은 급변동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평가하면서도 "미국 등 주요선진국의 통화정책 정상화로 가계의 원리금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일부 국가의 주택시장 및 실물경제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1분기 글로벌 주택가격은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 발생 직전이었던 2008년 1분기의 98.7%으로회복됐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금융불안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는 주택수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주택금리 등 금융여건을 비우호적으로 만들고, 원리금상환 부담을 키울 수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는 오는 12월 추가금리인상을 저울질하고 있고, 유럽중앙은행(ECB)도 양적완화 축소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 역시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지지하는 소수의견이 제시되는 등 세계 각지에서 금리인상 신호가 나오고 있다. 
 
금리인상 기조 전환에 따른 경제적 영향은 아시아 신흥국에 나타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기 이후 가계부채를 꾸준히 늘려왔기 때문이다.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은 과도한 주택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확대가 금융시스템의 리스크 요인이라는 판단에 따라 주택금융규제 조치를 강화했다. 주요 57개국을 기준으로 2000~2007년 중 60여건이던 주택금융규제 조치는 2008~2016년 중 140여건으로 증가했다.
 
그 결과 미국, 아일랜드, 스페인 등에서는 가계부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모기지대출이 감소하거나 증가율이 둔화됐지만 한국, 중국, 태국, 홍콩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글로벌 유동성이 유입되며 가계부채가 확대됐다. 선진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9년 80%를 상회하다가 최근 70% 초반대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신흥국은 20% 중반대에서 40%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올랐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1분기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3% 수준이다. 태국, 말레이시아, 홍콩 등 역시 가계부채가 크게 늘어난 국가들이 60~70% 수준임을 감안하면 그 규모가 상당함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총자산에서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62.8%로 미국(30.0%), 일본(37.8%) 등에 비해 높은 편이어서 주의가 요구된다.
 
2010년 주택가격을 기준으로 주택가격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지표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처분소득대비 주택가격비율(PIR), 임대료대비 주택가격비율(PRR)을 보면 한국의 2016년 PIR은 2007년에 비해 아직 낮고, PRR은 2007년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측정된다.
 
캐나다, 뉴질랜드, 노르웨이 등 일부 선진국은 같은 지표에서 주택가격이 적정수준 이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주택시장 동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향후 미국, 유럽연합(EU) 등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진행되면서 그간 신흥국을 중심으로 크게 늘어난 가계부채가 주택가격의 상승여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며 "주택가격 급등락이 발생할 경우 실물경제 및 금융시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커질 수 있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 시중은행 창구에서 고객들이 가계대출 관련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고은 기자 atninedec@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