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갈등에 한중 미세먼지 공조 '균열' 조짐
중국 측 미팅 등 기피…20여개 신규사업 차질 우려
2017-03-08 16:28:53 2017-03-08 16:28:53
[세종=뉴스토마토 임은석기자]한국에 사드(THAAD) 배치가 본격화 되면서 중국의 보복 강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미세먼지에 대한 한·중의 공조에 대한 균열이 우려되고 있다.
 
국내 미세먼지 절반가량이 중국에서 날아드는 만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양국 공조가 흔들리면 우리 국민들이 가장 큰 피해를 입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해초 수도권 미세먼지 농도가 두 차례 치솟았을때 국립환경과학원의 분석 결과, 중국에서 들어온 질산염·황산염·암모늄 등 오염물질이 65~80%를 차지했다.
 
8일 환경부에 따르면 한·중 양국이 미세먼지 문제로 공동 협력해온 사업은 대기오염 공동연구와 현지 공동저감사업 등 크게 두 가지다.
 
지난 2015년 6월 발족한 공동 연구단은 다음 달부터 베이징 등 동북부 지역에서 본격 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다. 공동연구단은 중국 현지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측정하고 배출량 측정 산정방식 등에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할 계획이었다. 이를 기반으로 대기오염물질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저감 방안 등을 입체적으로 분석할 예정이었다.
 
현지 공동저감사업도 올스톱 위기에 처해있다. 분진 배출이 많은 제철소나 석탄화력발전, 소각발전 시설에 집진(集塵:배출되는 먼지를 모으는 것) 설비를 갖추는 사업은 산동·하북·산서성을 비롯해 요녕성·내몽고 지역까지 확대될 예정이었다.
 
미세먼지 저감사업의 경우 지난해 포스코ICT·KC코트렐·제이텍 등 국내 기업들이 참여해 산서·하북 일대 제철소 한 곳과 화력발전소 4곳에 집진 설비를 마치는 등 650억원의 플랜트 수주 실적을 거뒀다. 한중 양국 정부는 각각 20%씩 비용을 부담했다.
 
하지만 사드 갈등이 본격화된 이후 공동 사업에 대한 중국측 기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중국측 관계자들이 공식 미팅을 기피하거나 주저하고 있어 실제 계약으로 연결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올들어 중국측 관계자들이 공식 미팅을 기피한다거나 주저하는 상황이 자주 생기고 있다"며 "올해도 20여개 신규사업에 대한 논의가 진행중이긴 하지만 사드 상황에 영향을 받다보니 아무래도 걱정이 된다"고 우려했다.
 
꽃샘추위가 계속된 8일 대체로 맑은 날씨를 보인 가운데 서울 상공은 미세먼지가 약간 뿌옇게 보인다.사진/뉴시스
 
세종=임은석 기자 fedor01@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